[BioS]JW중외제약, ‘고용량 철분주사제’ 건강보험 적용

입력 2024-05-02 09: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페린젝트’, 수술·임신·암·심부전 등 철 결핍 동반 환자 대상, 이달부터 적용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이번달부터 고용량 철분주사제 ‘페린젝트(Ferinject, 성분명: 페릭 카르복시말토즈)’에 건강보험이 적용된다고 2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페린젝트에 대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 행정 예고를 게시했다. 이로써 지난 2011년 3월 출시된 페린젝트는 약 13년 만에 건강보험 급여 목록에 포함됐다.

페린젝트주는 하루 최대 1000㎎의 철분을 최소 15분 안에 보충할 수 있는 고용량 철분주사제다. 철 결핍 또는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여성이나 만성 출혈 환자를 비롯해 출혈이 발생하는 다양한 수술과 항암요법으로 인한 철 결핍성 빈혈 등의 치료에 활용된다.

철분은 체내 산소 운반, 면역 체계 강화, 인지 기능 발달, 태아 발당 및 성장 등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하고 에너지를 생성하는 필수 미네랄이다. 철분이 부족할 경우 어지럼증, 피로, 호흡 곤란, 두근거림,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전세계 인구 중 약 3분의1이 철결핍 증상을 겪고 있으며, 수술 전 빈혈이 있으면 입원 기간이 연장되고 감염과 신장 손상 위험이 증가한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또한 사망 위험뿐만 아니라 수혈 부작용 우려도 있다.

암 환자의 경우 철 흡수를 억제하는 호르몬인 헵시딘 합성 증가와 영양실조로 인한 철분 흡수율이 떨어지고 철분 섭취량이 감소돼 철 결핍이 발생한다. 특히 췌장암의 경우 63.2%의 환자에게서 철 결핍이 발생하고 대장직장암과 폐암 환자 중 50% 이상 철 결핍 증상이 나타난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암 환자 외에도 만성신장질환 환자, 가임기 여성, 염증성장질환(IBD), 심부전 환자에게서도 철 결핍이 흔하게 발생한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철 결핍과 빈혈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며 “페린젝트 건강보험 적용으로 철 결핍과 관련된 질환을 앓고 있는 다양한 환자들이 의료적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JW중외제약은 지난 2011년 스위스 비포파마(Vifor Pharma)와 페린젝트의 국내 판권에 대한 라이선스, 공급계약을 체결해 제품을 시판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0: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022,000
    • -1.56%
    • 이더리움
    • 2,715,000
    • -3%
    • 비트코인 캐시
    • 445,000
    • -1.77%
    • 리플
    • 3,068
    • -1.95%
    • 솔라나
    • 177,800
    • -4.61%
    • 에이다
    • 970
    • -2.81%
    • 이오스
    • 1,240
    • +23.75%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389
    • -2.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100
    • -2.31%
    • 체인링크
    • 19,580
    • -4.39%
    • 샌드박스
    • 391
    • -2.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