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분야 일자리 늘어나는데 속도 더딘 인력양성… “맞춤 정책 지원 필요”

입력 2024-05-28 12:00 수정 2024-05-28 15: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보고서 ‘과학기술인력 고용 특성과 시사점’ 발표
과학기술인력 연평균 5.3% 증가하는데
학‧석‧박사는 연평균 3.6% 증가에 그쳐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6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13차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본위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6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13차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본위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최근 과학기술 분야 일자리는 늘어나지만 인력 양성이 그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은 28일 ‘최근 과학기술인력의 고용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학전문가는 △젊은 인력과 △고학력자 비중이 높고, 정보통신전문가는 △높은 남성 비중 △인력 부조화 심화가 눈에 띄며, 공학전문가는 △상대적 고임금 △인력 고령화 현상을 띠었다.

지난해 4월 기준,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는 약 196만 명으로 지난 4년간(2020~2023년) 연평균 5.3% 증가했다.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 영향으로 2021년 이후 인력 증가세가 빨라지는 모습이다.

한편, 이공계열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는 566만 명으로 지난 4년간 연평균 3.6% 증가했다. 최근 이공계 학사·석사·박사 학위 소지자의 연평균 증가율은 과학기술 인력 증가세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과학기술 분야의 고등교육 인력양성이 일자리 창출 속도를 따라오지 못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같은 기간, 국내 과학전문가는 10만3000여명으로 지난 4년간 연평균 7.4% 증가했다. 20~30대 인력이 69.2%로 정보통신전문가나 공학전문가보다 젊은 인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석사‧박사 학위를 소지한 고학력자 비중이 56.2%(5만8000명)로 전체 노동시장은 물론 정보통신전문가, 공학전문가 인력에 비해 높았다.

월 평균 임금은 440만 원이며, 남성·고학력(박사급) 인력 중심으로 임금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정보통신(ICT)전문가는 40만1000명으로 지난 4년간 연평균 5.6% 증가했다. 남성은 83.6%, 여성은 16.4%의 비율로 남성 인력이 월등히 많고, ICT 분야에 여성인력 진출이 활성화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ICT 직종 사업체의 인력 미충원율은 26.7%로 전직종은 물론, 과학전문가나 공학전문가보다 높았다. 지원자가 많아도 기업이 원하는 인력이 부족해 채용이 수월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자료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자료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국내 공학전문가는 73만6000명으로 지난 4년간 연평균 6.2% 증가했다. 남성은 87.6%, 여성은 12.4%로 남성 인력이 월등히 많았다. 공학기술 분야에 여성인력 진출‧육성이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 인력 비중이 24.4%로 과학전문가나 정보통신전문가에 비해 고령 인력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이들의 월 평균임금은 507만 원으로 다른 과학기술 인력(정보통신전문가 505만 원, 과학전문가 440만 원)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자국중심주의 기조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생성형 AI 확산 등 디지털 전환에 신속하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첨단과학 기술인재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다만 최근 산업계의 과학기술 인력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으나 인력의 양적 공급 부족 및 질적 부조화 문제가 여전해 향후 과학기술 분야 인력난 심화에 따른 국가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과학기술 인재 확보가 최우선 과제인 만큼 대학 교육시스템 혁신, 청년‧여성인력 활용 확대, 첨단산업 규제 혁파를 포함한 다각적 인재 육성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과학기술 분야별로 인력 특성이 상이하게 분석된 점을 고려해 분야별 맞춤형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자회사 편입에 대기업 그룹 투자 로봇기업들도 들썩
  • 미래에셋자산운용, ‘권선 세계 1위’ 에식스솔루션즈에 2900억 투자
  • 닻 올린 이우봉호...풀무원, 해외 사업 흑자 전환 ‘코앞’
  • ‘KDFS 횡령·배임’ 사건, 쌍방 상고로 대법원 간다
  • SK에너지, 지속가능항공유(SAF) 유럽 첫 수출
  • 올해부터 주행거리 긴 전기차에 보조금 더 준다는데…국산차에 호재 될까
  • 수도권·강원 ‘대설주의보’...최고 8cm 눈 내린다
  • 작년 아파트 분양 물량 전반은 10대 건설사…서울은 3년 연속 80% 웃돌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1.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778,000
    • +0.2%
    • 이더리움
    • 5,381,000
    • +1.38%
    • 비트코인 캐시
    • 699,500
    • +0.72%
    • 리플
    • 3,550
    • -1.58%
    • 솔라나
    • 319,800
    • +0.03%
    • 에이다
    • 1,568
    • -1.88%
    • 이오스
    • 1,316
    • -2.01%
    • 트론
    • 392
    • -1.01%
    • 스텔라루멘
    • 660
    • -2.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100
    • +2.87%
    • 체인링크
    • 34,570
    • +0.79%
    • 샌드박스
    • 952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