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헌 이투데이 대표 “녹색 건축,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한 축” [CESS 2024]

입력 2024-06-27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덕헌 이투데이 대표이사가 2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 (CESS) 2024’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투데이와 기후변화센터가 주최한 CESS 2024에선 스마트 녹색 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장 동향과 건물 환경 및 기술 융합 현황을 공유하고, 제로 에너지 건축 및 그린 리모델링 분야를 통한 탄소중립 달성과 함께 기술혁신, 일자리 창출, 주거환경 개선, 소득 재분배 등의 사회경제적 개선과제와 그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김덕헌 이투데이 대표이사가 2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 (CESS) 2024’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투데이와 기후변화센터가 주최한 CESS 2024에선 스마트 녹색 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장 동향과 건물 환경 및 기술 융합 현황을 공유하고, 제로 에너지 건축 및 그린 리모델링 분야를 통한 탄소중립 달성과 함께 기술혁신, 일자리 창출, 주거환경 개선, 소득 재분배 등의 사회경제적 개선과제와 그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김덕헌 이투데이 대표이사는 27일 “녹색 건축은 자원 효율성을 높이고 탄소배출을 줄여 기후 위기 대응에 있어 중요한 한 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이투데이와 기후변화센터가 공동 개최한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 2024(Climate-Energy Summit Seoul 2024)’에서 인사말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올해 행사는 ‘녹색 건축 활성화와 빌딩 넷제로 솔루션’을 주제로 진행됐다.

김 대표는 “전 세계가 기후변화에 따른 각종 재해로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 폭염과 폭우로 어느 때보다 힘든 여름을 보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은 자연재해뿐 아니라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식품 수급 문제부터 더 나아가 기업 경영과 나라 경제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지금 조금 불편하고 힘들더라도 기후 위기 문제는 피하거나 미룰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올해 8회째는 맞는 ‘서울 기후-에너지 회의’에서는 ‘녹색 건축 활성화와 빌딩 넷제로 솔루션’이란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기후 문제 해결을 논의하게 된다”며 “오늘 이 자리가 기후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길 바라겠다”고 기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187,000
    • +0.93%
    • 이더리움
    • 2,790,000
    • -0.18%
    • 비트코인 캐시
    • 455,200
    • -2.53%
    • 리플
    • 3,157
    • -2.68%
    • 솔라나
    • 187,100
    • -2.2%
    • 에이다
    • 1,007
    • -0.49%
    • 이오스
    • 1,220
    • +21.39%
    • 트론
    • 351
    • +0.86%
    • 스텔라루멘
    • 398
    • -2.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130
    • -2.98%
    • 체인링크
    • 20,260
    • -2.55%
    • 샌드박스
    • 402
    • -3.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