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美 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 사업권 인수

입력 2024-08-01 10: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기준 연간 4만6000가구 전력 공급 가능한 규모

▲김동준 현대엔지니어링 상무(왼쪽)와 사바 바야틀리 OCI에너지 사장이 지난달 31일 미국 텍사스 샌 안토니오 소재 OCI에너지 본사에서 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 사업권 인수계약식을 연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제공=현대엔지니어링)
▲김동준 현대엔지니어링 상무(왼쪽)와 사바 바야틀리 OCI에너지 사장이 지난달 31일 미국 텍사스 샌 안토니오 소재 OCI에너지 본사에서 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 사업권 인수계약식을 연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제공=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은 OCI에너지(OCI Energy)로부터 260MW 규모의 '힐스보로(Hillsboro) 태양광발전소' 사업권을 인수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달 31일 미국 텍사스주(州) 샌 안토니오에 위치한 OCI에너지 본사에서 진행된 사업권 인수계약(MIPA, Membership Interest Purchase Agreement) 서명식에는 김동준 현대엔지니어링 상무와 사바 바야틀리(Sabah Bayatli) OCI에너지 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남쪽으로 약 100km 거리에 위치한 힐 카운티(Hill County)에 지어질 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는 260MW 의 설비용량과 연산(年産) 총 492GWh의 발전량을 갖췄다. 이는 미국 기준 연간 약 4만6000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의 상업운전일(Commercial Operation Date)을 2027년 상반기로 계획하고, 현재 시공을 담당할 현지 EPC사(社)들과 접촉 중이다. 주요 기자재 및 태양광 모듈 공급업체 또한 비교 검토 중이다.

이번 사업권 인수를 통해 회사가 보유한 EPC(설계·구매·시공), O&M(운영 및 유지보수) 등의 역량에 기반한 차세대 에너지분야 전문기업으로서 면모를 갖추게 됐다는 게 현대엔지니어링 측의 설명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21년 12월 한국남동발전과 함께 '새만금 육상태양광 1구역 발전사업'을 성공적으로 준공한 경험이 있다. 올해 4월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유럽 및 남미 권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이하 MOU)도 체결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이번 힐스보로 태양광발전소 사업 인수를 통해 당사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추진에 한층 더 힘을 싣게 됐다”며 “앞으로도 차세대 에너지 관련 사업 개발 및 운영에 적극적으로 나섬으로써 지속가능한 미래를 창조하는 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미국 “철강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상호관세 미적용”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418,000
    • -2.46%
    • 이더리움
    • 2,679,000
    • -5.74%
    • 비트코인 캐시
    • 437,200
    • -5.04%
    • 리플
    • 3,004
    • -5.89%
    • 솔라나
    • 178,000
    • -5.77%
    • 에이다
    • 955
    • -5.54%
    • 이오스
    • 1,179
    • +15.59%
    • 트론
    • 347
    • -1.14%
    • 스텔라루멘
    • 382
    • -5.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650
    • -5.17%
    • 체인링크
    • 19,210
    • -8.65%
    • 샌드박스
    • 380
    • -7.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