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24.7조…작년 거래액 근접…CEO 98% “1년내 전략적 딜 추진”
‘피벗(통화정책 전환)’ 기대감에 인수합병(M&A)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고수익을 노리는 글로벌 자금이 사모펀드(PEF)에 몰리고 있는 데다가 저금리 환경으로 M&A에 필요한 자금을 쉽게 조달할 수 있어서다. 덩치 큰 국내 기업들도 M&A와 매각 등을 통해 포트폴리오 재편을 계획하고 있어, 대형 금융사와 기업 구조조정 매물의 거래가 다시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태영그룹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내놓은 에코비트는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몸값이 3조 원 안팎으로 현재 매각 절차가 진행중이다. 티와이홀딩스와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는 최근 적격인수후보(숏리스트)로 선정된 4개사에 본입찰 일정을 통보했다.
IMM프라이빗에쿼티는 지난달 제뉴원사이언스를 7500억 원에 매각했고, 2019년 인수한 하나투어를 매물로 내놨다. CVC캐피탈은 몸값 1조5000억 원 안팎의 여행·여가 플랫폼 여기어때를 팔고 있다.
롯데손해보험(3조 원), 동양생명(1조 6000억 원), KDB생명(4000억 원), MG손해보험(3000억 원), ABL생명(3000억 원) 등 보험사들도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롯데카드(3조 원), 한양증권(1000억 원)도 대기 매물이다. 모던하우스(1조 원), 서린컴퍼니 등도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맥쿼리PE가 매각을 부인하고 있지만, DIG에어가스(옛 대성산업가스, 5조 원)도 잠재 매물로 거론된다. 최대주주인 맥쿼리PE는 최근 1조8000억 원 규모의 DIG에어가스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재융자)을 추진했다.
최고경영자(CEO)들의 사업 재편 의지도 강하다. EY한영이 지난달 전 세계 21개국의 CEO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한국 CEO 응답자의 98%는 1년 내 전략적 딜을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다. 중복응답이 가능한 가운데 딜 추진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이들 중 70%는 M&A를, 80%는 매각·스핀오프·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실제 SK를 비롯해 삼성, 현대차, GS 등 주요 그룹들이 M&A 시장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고 있다.
변동범 EY한영 EY-파르테논 본부장은 “기업들의 M&A 추진 의지는 높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저성장 기조, 고금리, 지정학적 위기, 미국 대선 등 불확실성이 많아 선별적 딜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상반기 딜을 고려하면 올해 M&A거래는 50조 원을 웃돌 가능성이 있다. 딜로직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M&A는 179억1700만 달러(약 24조7612억 원)였다. 이중 국내 기업 투자가 167억 달러였다. 지난해 180억 달러에 근접한 규모다.
이응문 율촌 변호사는 “상대적으로 높은 자금 조달 능력을 갖춘 글로벌 PE가 국내 기업을 인수 및 투자하는 거래는 갈수록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경수 삼일회계법인 M&A센터장은 “국내 기업의 해외 기업 투자 또는 해외 기업의 국내 기업에 대한 투자 등 크로스보더 M&A 역시 점차 활성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