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vs 트럼프, 여전히 1%p 안팎 초접전…트럼프 48%로 약간 앞서

입력 2024-09-09 08: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바이든 재선 포기 이후와 크게 달라진 바 없어
“해리스는 너무 진보적” 응답 47%…민주당 경고 신호

▲카멀라 해리스(왼쪽) 미국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카멀라 해리스(왼쪽) 미국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는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지율에서 여전히 근소한 차이를 보이면서 ‘초접전’을 펼치고 있다.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NYT와 시에나대가 공동으로 실시한 3~6일 여론조사에서 해리스 부통령은 47%, 트럼프 전 대통령은 48%로 1%포인트(p)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미 전역 등록 유권자 1695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이뤄졌다. 오차범위는 ±3%였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 포기를 선언한 직후인 7월 22∼24일 여론조사에서는 해리스가 46%, 트럼프가 48%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이 부상하면서 위기에 직면한 듯했지만, 금세 지지율을 회복했다. 대선의 승패를 가르는 7개 경합 주에서도 여전히 치열한 접전이 계속되고 있다.

네바다,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애리조나 등 4개 주에서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은 각각 48%로 동률이었다. 위스콘신,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등 3개 주에선 각각 1∼2%p의 근소한 차이로 해리스 부통령이 앞섰다.

지난달 시카고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 이후에도 해리스 부통령이 치고 나가지 못하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여성, 청년, 라틴계 등 집단에서는 일부 지지율을 되찾았지만, 전통적인 민주당의 강점을 되찾지는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응답자의 47%는 해리스 부통령에 대해 “너무 진보적”이라고 답했다. NYT는 이 부분이 민주당에 또 다른 경고 신호라고 풀이했다.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이 ‘너무 보수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2%였다.

분야별로 업무수행 신뢰도를 묻는 말에 트럼프 전 대통령은 경제와 이민 부분에서 각각 신뢰도 55%와 53%로, 해리스 부통령보다 13%p, 10%p씩 앞섰다. 해리스 부통령은 낙태(54%)와 민주주의(50%) 부문에서 15%p, 5%p씩 우위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NYT와 시에나 대학교의 공동 여론조사로 이뤄졌으며,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선고 이틀 앞, 尹 '침묵'..."대통령이 제도 신뢰 높여야"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아이유 "'살민 살아진다', 가장 중요한 대사"
  • LCK 개막하는데…'제우스 이적 ㆍ구마유시 기용'으로 몸살 앓는 T1 [이슈크래커]
  • 창원NC파크 구조물 사고, 당장 경기를 중단했어야 할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619,000
    • +1.87%
    • 이더리움
    • 2,821,000
    • -0.84%
    • 비트코인 캐시
    • 460,400
    • -1.6%
    • 리플
    • 3,214
    • -0.12%
    • 솔라나
    • 191,700
    • +0.05%
    • 에이다
    • 1,028
    • +0.49%
    • 이오스
    • 1,196
    • +15.89%
    • 트론
    • 352
    • +0.57%
    • 스텔라루멘
    • 405
    • -0.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720
    • -2.33%
    • 체인링크
    • 20,860
    • -2.07%
    • 샌드박스
    • 409
    • -2.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