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뉴욕증시, 엇갈린 CPI 해석에 널뛰기 장세…나스닥 2.17%↑

입력 2024-09-12 07: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CPI 결과 해석 부정적→긍정적으로…기술주 반등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을 하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을 하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가 11일(현지시간) 엇갈린 물가 지표 해석에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다가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가 전장보다 124.75포인트(0.31%) 오른 4만861.71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58.61포인트(1.07%) 상승한 5554.13에, 나스닥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69.65포인트(2.17%) 뛴 1만7395.53에 거래를 끝냈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둘러싸고 해석이 엇갈리면서 주식시장이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이날 오전 8월 CPI 발표 이후 끈질긴 인플레이션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를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고, 한때 다우지수는 700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시간이 흐르면서 대체로 나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기술주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됐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8월 헤드라인(전 품목) CPI는 전달보다 0.2%,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하면서 다우존스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음료를 제외한 8월 근원 CPI는 전달보다 0.3% 상승하면서 시장 예상치(0.2% 상승)를 웃돌았다. 이는 4월 이후 넉 달 만에 최대 폭 상승이다.

서비스 물가상승률이 되레 가팔라진 점에서 시장의 불안감이 커졌다. 끈질긴 인플레이션이 연준 금리 인하 사이클의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CPI 발표 이후 시장에서는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빅컷(0.50%포인트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가 후퇴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 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9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확률을 85%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 71%에서 약 14%포인트 치솟은 것이다. 0.50%포인트 인하할 확률은 15%까지 낮아졌다.

B라일리 자산운용의 수석 시장 전략가인 아트 호건은 “CPI 발표로 매도세가 확대됐지만, 단기적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진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전날 밤 열린 미국 대선후보 TV 토론회에서는 민주당 대선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상대로 우위를 점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다만 현재까지의 여론조사에서는 양측의 지지율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대선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여전했고 주식 매수세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업종별로는 기술주가 3.25%나 뛰었다. 임의소비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분야도 1%대 상승했다. 반면 필수소비재, 에너지, 금융, 의료, 부동산 등은 약세를 보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1.39포인트(7.29%) 내린 17.69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미국 “철강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상호관세 미적용”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106,000
    • -2.68%
    • 이더리움
    • 2,672,000
    • -6.01%
    • 비트코인 캐시
    • 437,100
    • -4.98%
    • 리플
    • 2,998
    • -6.05%
    • 솔라나
    • 176,100
    • -6.73%
    • 에이다
    • 949
    • -6.13%
    • 이오스
    • 1,170
    • +14.37%
    • 트론
    • 347
    • -1.42%
    • 스텔라루멘
    • 381
    • -5.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720
    • -4.99%
    • 체인링크
    • 19,150
    • -8.81%
    • 샌드박스
    • 377
    • -8.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