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는 ‘그린 공급망’...네트워크 구축 활발 [기후가 삼킨 글로벌 공급망]

입력 2024-10-22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10-21 17: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②-2. 원료ㆍ생산ㆍ운송으로 번진 '친환경'

친환경 자원 조달ㆍ재생에너지 활용ㆍ운송로 최적화
주요국 관련 법ㆍ정책 쏟아내...CBAMㆍRE100 등
"그린공급망으로 빠른 재편...충족 못하면 참여 어려워"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지속가능성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면서 ‘그린 공급망(Green Supply Chain)’이 주목받고 있다. 원료, 생산, 운송 등 공급망을 구성하는 전 과정에 ‘친환경’을 추가한 것이다. 주요국들은 친환경 자원, 기술,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나섰다.

그린 공급망은 친환경 자원을 조달하고, 생산 과정에서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며 최적화된 운송로를 이용해 탄소배출을 줄여나간다. 기존 공급망이 비용 절감, 효율 극대화를 추구했다면 그린 공급망은 환경보호와 지속가능성을 중시한다.

주요국들은 그린 공급망을 촉진하기 위한 법, 정책,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럽연합(EU)은 지난해 ‘탄소 국경세(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를 도입했다. 탄소 배출이 많은 제품이 수입될 때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다. 우선 철강, 알루미늄, 전력 등 탄소 집약적인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RE100’도 그린 공급망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RE100 참여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목표로 한다. 글로벌 협력 이니셔티브(Global Green Supply Chain Initiative, GGSCI)도 재생 가능한 자원 사용, 친환경 물류 등을 지원해 그린 공급망을 촉진한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청정에너지 계획(Clean Energy Plan)’도 연방 정부 조달 과정에서 그린 공급망을 장려한다. 특히 에너지 구조를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게 목표다. ‘탄소 감축 인센티브(Inflation Reduction Act)’도 기업의 그린 공급망 전환을 유도하는 중요 정책으로 꼽힌다. 재생에너지, 친환경 자재 등을 생산하거나 사용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이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신통상전략팀 부연구위원은 “친환경 제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위주로 공급망이 빠르게 재편될 것”이라며 “규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공급망에 참여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전망했다.

친환경 자원과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가령 스위스와 페루는 탄소포집 및 저장 기술 활용 관련 양자 조약을 체결했다. 일본과 스리랑카도 저탄소성장파트너십을 맺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이 연구위원은 “국제협력을 통해 친환경 재생에너지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며 “에너지원이 부족한 한국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182,000
    • +5.6%
    • 이더리움
    • 4,530,000
    • +4.55%
    • 비트코인 캐시
    • 731,500
    • +18.27%
    • 리플
    • 1,571
    • -1.57%
    • 솔라나
    • 341,400
    • +2.92%
    • 에이다
    • 1,113
    • -3.05%
    • 이오스
    • 923
    • +2.78%
    • 트론
    • 282
    • +1.81%
    • 스텔라루멘
    • 337
    • -4.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2,100
    • +6.97%
    • 체인링크
    • 20,980
    • +2.04%
    • 샌드박스
    • 483
    • +1.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