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웃과의 약속”…지역사회와 상생 [사회공헌]

입력 2024-11-25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발달장애 청소년과 함께하는 ‘우리두리’ 티볼 운동회 모습. (사진제공=두산그룹)
▲발달장애 청소년과 함께하는 ‘우리두리’ 티볼 운동회 모습. (사진제공=두산그룹)

두산그룹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회의 일원으로서 가져야 할 기본 의무이자 약속’으로 정의하고 지구촌과 지역사회의 성장을 돕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근 두산그룹은 재단법인 ‘바보의나눔’에 성금 10억 원을 전달했다. 바보의 나눔은 고(故) 김수환 추기경의 사랑과 나눔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2010년 설립된 민간 모금 기관이다. 두산그룹은 2012년부터 매년 이곳에 성금을 전달해오고 있다.

두산이 후원한 성금은 가족을 돌보면서 가장 역할을 하는 가족돌봄 아동ㆍ청소년 지원과 취약계층 어린이 환자 치료비 지원, 저개발국가 의료봉사,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개보수 등에 쓰인다.

두산은 2017년부터 미취학 자녀가 있는 순직ㆍ자살ㆍ공상 소방공무원 가족에게 자녀 양육비와 심리치료를 지원하는 ‘소방가족 마음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소방관들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추운 겨울 최전방 군 장병들에게 온기를 전하는 ‘사랑의 차(茶) 나누기’도 두산의 최장수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1991년부터 34년째 이어져 온 이 프로그램을 통해 두산은 올해까지 총 4000만 잔이 넘는 온기를 전달해왔다.

두산은 또한 ‘사람에 대한 헌신’이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영유아부터 청소년에 이르는 미래 인재들이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해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두산의 ‘우리두리’는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생활체육을 지원하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두산은 국내외 대형 재난재해 상황에서도 기업시민으로서 지원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대형 지진으로 극심한 피해를 본 튀르키예 지진 피해현장의 구호와 복구 활동을 위해 100억 달러 상당의 건설장비를 지원한 바 있다. 또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강릉 지역의 피해 복구를 돕고 이재민을 지원하기 위해 5억 원을 기탁했다.

이 밖에도 두산은 1999년부터 매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희망나눔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으며, 올해도 20억 원의 이웃사랑 성금을 기부한 바 있다. 두산이 올해까지 기탁한 누적 성금은 총 538억 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76,000
    • -0.31%
    • 이더리움
    • 2,722,000
    • +0.37%
    • 비트코인 캐시
    • 452,400
    • +0.15%
    • 리플
    • 3,122
    • -2.62%
    • 솔라나
    • 187,000
    • -0.48%
    • 에이다
    • 982
    • -1.21%
    • 이오스
    • 922
    • +3.83%
    • 트론
    • 357
    • +2.88%
    • 스텔라루멘
    • 395
    • -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910
    • -2.01%
    • 체인링크
    • 20,270
    • -0.25%
    • 샌드박스
    • 405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