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용평가사 S&P(스탠다드앤푸어스) 글로벌은 29일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국내 은행, 비은행 기관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예금취급기관 기준 전체 부실자산 비율은 올해 말 약 1.8%에서 2026년 말 약 1.6%로 서서히 개선될 것으로 봤다.
김대현 S&P글로벌 연구원은 "국내 은행들이 적절한 리스크 관리 능력과 자본 여력을 바탕으로 부동산PF를 잘 통제해 나갈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시스템 전이 리스크도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은행들의 자산 규모 대비 관련 익스포져가 작고 주거용 중심의 우량 프로젝트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잠재적인 자산건전성 압박에 대비해 지난 몇 년 동안 추가 적립한 충당금도 손실흡수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지난 몇 년 동안 약 1% 수준이던 부실자산비율이 크게 상승한 데는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자산건전성 악화가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상반기 말 기준, 은행의 부실자산 비율은 0.7%로 견조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점진적으로 낮추기 위해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면밀히 관리해 나갈 것으로 전망한다. 정부는 정책 노력의 일환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추가적으로 강화했으며 수도권 지역의 정책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축소할 예정이다.
국내 은행 역시 수익성이 소폭 하락하겠지만 대손비용을 흡수할 수 있는 적정한 수준의 이익을 창출해 나갈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 은행권의 평균총자산이익률(ROAA)은 금리하락에 따른 순이자마진 축소로 인해 2023년 약 0.6%에서 향후 2년 동안 약 0.5% 수준으로 완만하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기관들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은 PF사업장 익스포져가 높아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겠지만, 부동산PF 리스크가 은행권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저축은행은 예금취급기관 전체 대출의 약 3% 정도로 절대적인 규모가 작다. 상호금융기관들은 실질적인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중앙회의 재무여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유사시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금융지주사의 기업 밸류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에 따른 주주환원 확대가 은행 자본적정성 부담이 되진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이러한 주주환원 확대는 바젤III 규제 자본비율에 대한 충분한 자본 여력이 확보된 상황에서 지속할 것"이라며 "국내 금융지주사의 연간 자산성장률은 약 4~5%로 완만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최근 국내 금융권에서 잇달아 횡령,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손실과 같은 내부통제 부실 사건이 발생한 점을 두고 "은행의 경영 거버넌스를 위협하거나 사업 운영능력을 훼손할 정도로 중대한 사건이 발생할 경우, 개별 은행의 신용등급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친인척 부당대출 의혹 등에 휩싸인 우리금융지주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