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14일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앞으로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앞서 2016년 12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 2017년 3월 헌법재판소 심판 결과가 나올 때까지 약 3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값은 큰 폭의 상승세나 내림세를 보이진 않았다. 다만 탄핵 이후 6개월 이상 장기로 보면 서울 아파트값이 누적 1.4% 올라 전국 상승률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KB부동산 ‘월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누적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17%로 집계됐다. 강북지역은 0.24%, 강남지역은 0.1% 올랐는데 모두 제자리걸음 수준의 오름세에 그친 것이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값은 0.04% 올랐고, 수도권 기준으로는 0.12% 상승했다. 지방에선 내림세를 보였다. 이 기간 경북은 –0.81%, 경남은 –0.51%, 대구는 –0.61% 내렸다. 반면 부산은 0.89% 올라 대조를 이뤘다.
탄핵 직전인 2016년 11월 당시 박근혜 정부에선 부동산 수요 조절과 청약시장 안정 등을 목표로 분양권 전매 제한 등 수요 조절 대책이 포함된 ‘11·3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바 있다. 청약시장의 가수요를 없애고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 시장 안정화에 방점이 찍힌 대책이었다. 이런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줄었고, 탄핵안 가결로 불확실성이 확대하면서 단기간으로 보면 매수 심리 위축에 따라 아파트값도 큰 변동 없는 흐름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시장에서도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사태 이후 불확실성 확대로 부동산 매수 심리 위축에 따른 아파트값 상승 폭 둔화가 포착됐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2월 둘째 주(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값 변동률은 매매 기준 0.03% 하락으로 나타나 낙폭을 키웠다. 서울 역시 0.02% 상승으로 전주(0.04%) 대비 상승 폭이 줄었다.
다만 장기간으로 보면 탄핵 사태와 집값은 별개로 움직였다. 2016년 말 탄핵안 가결 후 2017년 5월 치러진 조기 대선 이후까지 기간을 넓혀보면 서울과 세종 등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완만한 상승세가 포착됐다.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2016년 12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서울 아파트값은 1.38% 올랐다. 강북지역 14개 자치구는 1.28% 올랐고, 강남지역 11개 지역은 1.47% 올랐다. 앞서 탄핵안 가결 직후 3개월 기준으로 강북지역이 강남지역 상승률을 앞지른 것과 정반대다. 이 기간 전국 아파트값은 누적 0.35% 올랐다.
탄핵안 가결 이후 누적 1% 이상 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세종(1.06%)과 부산(1.45%)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대구(-0.86%)와 경북(-1.28%), 경남(-1.03%) 등은 탄핵안 가결 이후 3개월은 물론, 반년 기준으로도 아파트값 내림세가 지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탄핵안 가결 후 1년 기준으로는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다른 지역보다 더 도드라졌다.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서울 아파트값은 5.28% 상승해 전국 누적 상승률 1.31%의 4배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2.77%, 세종은 3.05% 상승해 서울 상승률의 절반을 조금 웃도는 수준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