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농산물 인증제' 전면 개편…"많은 농가 취득 지원"

입력 2024-12-1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증 비용 절감, 품목별 평균 배출량 업데이트 등

▲저탄소 인증 사과 사진.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저탄소 인증 사과 사진.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는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를 많은 농가들이 취득하고 장기적으로 운영되는 방향으로 12년 만에 개선한다고 16일 밝혔다.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는 친환경·농산물우수관리(GAP) 농산물을 대상으로 저탄소 농업기술을 활용해 생산과정에서 품목별 평균 배출량보다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한 경우 부여한다.

농업인이 지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되면 배출량 산정 보고서 작성 등 인증 취득 전 과정을 지원한다.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는 2012년 제도 도입 이후 꾸준히 참여 농가와 면적이 늘고, 최근 유통사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영) 추세와 함께 인증 취득 수요가 대폭 증가한 점을 반영해 장기적 운영을 골자로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우선 더 많은 농업인을 지원하기 위해 인증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한다. 현재 저탄소 인증 취득을 위한 비용을 국비 100%로 지원하고 있으나 인증에 소요되는 비용이 타 인증제에 비해 높아 제한된 예산 하에서 농업인 지원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기존에 평균 120만 원에 달하던 저탄소 인증 컨설팅 비용을 87만 원 수준으로 낮출 예정이다.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제도 취지를 살리기 위해 선착순 선발방식도 개선한다. 작년까지 선착순으로 신청서를 접수했으나 이는 농가의 감축량·감축의지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새롭게 변경된 농가 선발방식은 농가의 감축량·감축의지가 강할수록 가점을 부여한다. 사업 신청 농가는 △2인 이상 단체 신청한 경우 △최근 2년 이내 농업 분야 온실가스 감축 관련 타사업에 참여한 경우 △저탄소 농업기술을 두 개 이상 적용한 경우 △저탄소 교육을 이수한 경우 가점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온실가스 감축을 강화하기 위해 품목별 평균 배출량을 현행화한다.

지금까지 저탄소 농산물 인증의 기준이 된 품목별 평균 배출량은 2012년에 설정됐다. 농식품부는 내년부터 농촌진흥청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품목별 평균 배출량 기준을 현행화할 예정이다.

기존에 인증을 받아 갱신이 필요한 농가는 적용을 변경된 기준의 적용을 2년간 유예받는다.

박정훈 농식품부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 개선으로 더 많은 농가의 저탄소 인증 취득을 지원하고, 제도가 장기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농업 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저탄소 영농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BYD 이어 지커까지…중국車 한국 공습 '파상공세'
  • 편의점서 즐기는 축구·야구…팬심 저격에 판매량 ‘쑥’
  • 돌아온 봄의 전령 ‘벚꽃’…우리 자치구에서 즐겨볼까?
  • 백종원, 주주총회 사과 후 달려간 곳…안동서 무료 식사 제공 "두고볼 수 없어"
  • 바둑판 위에서 펼쳐지는 전쟁…이병헌과 유아인이 그려낸 '승부' [시네마천국]
  • “소리로 한번, 맛으로 두번 바삭”···뿌링클 잇는 히트템 bhc ‘콰삭킹’[맛보니]
  • 국산 AAA 타이틀의 가능성 보여준 소울라이크 게임 ‘퍼스트 버서커:카잔’ [딥인더게임]
  • 주말 어디 갈까…봄날 테마파크 콘텐츠도 풍성[주말엔]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72,000
    • -1.45%
    • 이더리움
    • 2,801,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457,200
    • -1.95%
    • 리플
    • 3,176
    • -4.28%
    • 솔라나
    • 188,700
    • -3.87%
    • 에이다
    • 1,024
    • -1.63%
    • 이오스
    • 840
    • -1.87%
    • 트론
    • 349
    • +2.95%
    • 스텔라루멘
    • 401
    • -1.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320
    • -3.36%
    • 체인링크
    • 20,830
    • -3.52%
    • 샌드박스
    • 411
    • -3.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