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대표직에서 전격 물러났다. 7·23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된 이후 약 5개월 만이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생 많으셨다. 국민의힘 당대표직을 내려놓는다”고 밝혔다. 그는 “최고위원 사퇴로 최고위가 붕괴되어 더 이상 당 대표로서 정상적인 임무 수행이 불가능해졌다”며 “이번 비상계엄 사태로 고통받으신 모든 국민들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한 대표는 “탄핵으로 마음 아프신 우리 지지자분들께 많이 죄송하다”며 “그런 마음을 생각하면서 탄핵이 아닌 이 나라에 더 나은 길을 찾아보려 백방으로 노력했지만, 결국 그러지 못했다. 모두가 제가 부족한 탓이다. 미안하다”고 거듭 사과했다.
그는 “우리 국민의힘은 12월 3일 밤 당 대표와 의원들이 국민과 함께 제일 먼저 앞장서서 우리 당이 배출한 대통령이 한 불법 계엄을 막아냈다”며 “헌법과 민주주의를 지켰고, 저는 그것이 진짜 보수의 정신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부정선거 음모론자들, 극단적 유튜버들 같은 극단주의자들에 동조하거나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공포에 잠식당한다면 보수의 미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관련 뉴스
한 대표는 “그제 의총장에서 일부 의원들의 격양된 사퇴 요구를 받고 나올 때 젊은 기자 한 분에 제가 당 대표에서 쫓겨나는 이유가 된 탄핵 찬성에 후회하느냐고 물었다. 잠깐 많은 생각이, 많은 장면이 스쳐 갔다”라고 말했다. 이어 “마음 아프신 우리 지지자분들을 생각하면 참 고통스럽지만, 여전히 후회하지 않는다”며 “저는 어떤 일이 있어도 대한민국과 주권자인 국민을 배신하지 않기로 약속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된 직후 탄핵 찬성을 밝혔던 한 대표에게 사퇴해야 한다는 요구가 잇따랐다. 당 소속 의원들이 표결 직전 내린 당론은 ‘탄핵 반대’였고, 국민의힘에서 최소 12명의 이탈표가 발생하자 이에 대한 책임을 물은 것이다.
한 대표는 의원들의 사퇴 요구에도 “저는 직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했지만, 이후 친한(친한동훈)계 장동혁·진종오 의원을 포함한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전원이 사의를 표명하면서 당 지도부가 붕괴하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대표의 사퇴로 권성동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당을 이끌게 됐다. 비상대책위원장 임명권을 가진 권 원내대표는 당 비상 상황을 수습할 위원장 물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