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닥친 IPO 시장…‘계엄 후폭풍’에 상장 연기까지[탄핵열차와 자금시장]③

입력 2024-12-18 06: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계엄 사태 후폭풍에 혹한기 맞은 IPO 시장
상장 예비심사 철회 기업, 지난해 30곳→올해 33곳 상장
일정 연기 기업, 이달에만 5곳 등장
국내 증시 상장 매력 떨어지자…
대어급은 “미국으로” 증시 통한 자금 조달 어려워질 듯

탄핵정국의 불안한 그림자가 자본시장에 드리우고 있다.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던 기업들은 잇달아 상장 일정을 내년으로 늦추고 있다. 인수합병(M&A)시장 참여자들도 정치권의 눈치를 보고 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한 기업 187곳 중 심사를 철회한 기업은 33곳으로 집계됐다. 심사 철회 기업이 30곳이었던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증시가 살아나지 않은 데다가, 새내기주 주가가 상장 후 하락세를 피하지 못하면서 사실상 IPO 시장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IPO 시장 분위기는 지난해보다 올해 더 크게 악화했다. 심사 철회 수준은 비슷해도 상장을 준비하던 기업들이 IPO 시장 위축을 피하려는 움직임은 급증해서다. 3일 비상계엄 사태까지 겹치면서 증시 불확실성이 커지자, 급히 IPO 일정을 미루는 기업도 연이어 등장했다.

실제 이달 들어 △아스테라시스(11월→ 1월) △데이원컴퍼니·삼양엔씨켐(12월→1월) △모티브링크·아이에스티이(12월→2월) 등이 상장 일정을 새해로 미뤘다. 이미 올해 하반기 케이뱅크와 미트박스글로벌, 씨케이솔루션, 오름테라퓨틱 등이 상장 일정을 미뤘는데, 이달에만 5곳이 추가로 발생한 셈이다.

증권가는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을 제외한 올해 상장사(70곳) 중 77.29%(52곳)가 공모가를 밑돌만큼 혹한기가 이어지자 ‘상장해도 문제’라는 우려가 업계에 퍼진 것으로 보고 있다. 상장 예비심사 효력이 유지되는 기간(6개월) 안에만 상장하면 문제될 게 없으므로, 우선은 IPO 일정을 멈추고 탄핵 정국과 시장을 관망하겠단 것이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시장에서 기업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받아도 당장 계엄령 사태의 후폭풍이 있을 것으로 보는 시선이 다수”라며 “시장이 불확실할수록 일반투자자 청약 수요도 적을 것으로 보고 있어 ‘지금 증시에 입성해 봐야 좋을 게 없다’는 의견이 많다”고 했다.

탄핵정국이 길어지면 내년 IPO시장도 침체할 가능성이 있다. 탄핵 정국 속에 ‘국내 증시 부진→기업 이탈→IPO 시장 위축→기업 자금조달 난항’이라는 악순환 고리가 만들어 질 수 있어서다. 비바리퍼블리카(토스)와 무신사, 야놀자 등 기업가치가 1조 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들은 미국시장으로 방향을 틀었다.

글로벌 사모펀드(PEF)와 투자은행(IB)들의 활동도 둔화 조짐이다. CJ제일제당 바이오 사업부, SK아이이티, LG화학 여수 나프타분해시설(NCC) 2공장 지분 매각, 효성화학 특수가스부문 매각 등이 영향권이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사모펀드(PEF) 출자자(LP)는 2025년도 사업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위탁운용사(GP)는 자금 조달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MG손보 청산 기로에 소비자 불안…예금자보호한도 상향 해법 되나
  • 가상자산 거래소들, 법인 코인 거래 앞두고 영업 채비 ‘한창’
  • 오늘은 4월 1일 만우절, 유래는?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12:4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412,000
    • +1.41%
    • 이더리움
    • 2,729,000
    • +1.34%
    • 비트코인 캐시
    • 454,300
    • +1.93%
    • 리플
    • 3,122
    • +0.35%
    • 솔라나
    • 187,300
    • +0.27%
    • 에이다
    • 995
    • +2.26%
    • 이오스
    • 911
    • +5.81%
    • 트론
    • 353
    • +1.73%
    • 스텔라루멘
    • 395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690
    • +2.12%
    • 체인링크
    • 20,300
    • +2.37%
    • 샌드박스
    • 406
    • +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