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위원장은 “잘 지내는 사람”
중국과 ‘정상회담 중요성’ 강조해
주변국 정상회담 언급에 한국 빠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북한을 비롯해 한반도 주변 강대국과의 정상외교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탄핵 정국에 휘말린 한국과 관련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트럼프 당선인은 16일(현지시간) 자신의 자택이 있는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대선 승리 후 첫 기자회견을 열고 한반도 안보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국과 러시아, 일본 등 주요 강대국 정상과의 활발한 소통을 예고했다.
특히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친분을 잇달아 과시하면서 집권 1기 때와 마찬가지로 김 위원장과의 직접 회동 추진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날 회견에서 가장 많이 언급한 국가는 단연 러시아다.
대선 과정은 물론 당선 이후에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겠다”고 공언해온 만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동을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으로 인해 천문학적인 양측 군인이 희생되고 있다”면서 “우리는 푸틴은 물론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도 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집권 1기 기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3차례 직접 대면했던 만큼, 김 위원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김 위원장을 일컬어 “내가 잘 지내는 또 다른 사람”이라고 말했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에 대한 과거 관계고 강조했다.
그는 시 주석이 취임식에 참석할지는 알지 못한다면서도 “코로나19 전까지 좋은 관계였고, 코로나19도 그와 관계를 끝내지 않았다”고 했다.
아울러 “미국과 중국은 세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나는 시 주석과 아주 좋은 대화를 나눴다. 내 친구였고, 놀라운 사람”이라고 말했다.
대중국 관세전쟁을 예고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미ㆍ중 정상회담을 통해 분쟁을 해소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지닌 것으로 파악된다.
신임 일본 총리를 거론하며 일본과의 동맹 의지도 재확인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는 취임 전이라도 회동할 수 있다”라며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처럼 한반도 주변국에 대한 소통 의지를 강조한 반면 한국에 대해서는 단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당선 후 첫 회견에서 북한과 중국, 러시아, 일본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가의 정상을 모두 거론했음에도 이례적인 언행이었다.
집권 1기 때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대통령 탄핵 정국이 되풀이되고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는 상황이어서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에서 한국이 철저히 배제된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에도 트럼프 측근은 한국과의 외교를 일컬어 “죽은 권력과 소통하지 않는다”라는 언론 인터뷰를 이어왔던 바 있다.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정국에 대한 반응이었다.
한국 탄핵 정국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직후부터 주한미군 방위비 인상을 압박하고, 한국산 제품에 대해 10∼20%의 보편 관세를 물릴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빅터 차 한국 석좌는 12일 트럼프 당선인의 보편 관세 공약과 한국의 대미무역 흑자를 언급하면서 “이러한 조합은 거의 확실히 10% 이상의 한국에 대한 관세를 의미한다”라고 우려했다. 그는 “모두가 마러라고 등에서 개별 협상을 시도하는 데 한국에는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문제”라고 지적한 바 있다.
뒤이어 16일 한국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친분을 연일 자랑하고 있어 북미 정상외교를 다시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라면서도 “그러나 한국의 정치적 공백 때문에 미국이 한국과 협의하지 않고 이른바 ‘코리아 패싱’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