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매파적 FOMC, 내년 인하 2회 전망…원·달러 환율 약세 완화 어려워”

입력 2024-12-19 08: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4.25~4.50%로 인하했다. 연준이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는 상황에 진입하면서 정책 격차는 다시 벌어지고 달러 강세 국면도 이어진다는 전망이 나왔다.

19일 유진투자증권은 "12월 FOMC에서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0.25%p 인하했지만, 예상보다 더 매파적이었다. 추가 인하를 위해서는 적어도 3월 또는 5월 회의까지는 기다려야 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밝혔다.

파월 의장의 경제전망과 기자회견 발언에서 매파적 본색이 드러났다. 내년 성장률과 실업률은 크게 조정되지 않았지만, 인플레 전망치가 0.3~0.4%p 상향되었으며, 금리 인하 전망이 기존 4회에서 2회로 크게 줄었다.

파월 의장은 "이번 결정이 박빙이었으며, 올해 총 100bp의 금리 인하를 통해 정책금리가 훨씬 덜 제약적인(significantly less restrictive) 수준으로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또 향후 경제와 노동시장이 견고하게 유지될 경우 더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여지도 남겨뒀다.

이정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문제는 내년 5월 회의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의 말에 따르면 이번 경제전망에는 트럼프 정책 영향이 아직 완전히 반영되지 않았는데, 그럼에도 내년 말 인플레이션을 2.5%로 전망했다면 내년 정책 경로의 불확실성이 상당히 높아진 상황"이라고 짚었다.

트럼프 취임 이후 연준의 정책 기조는 지금보다도 더 신중해질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결국 경기 하방 압력에 대응해 당분간 금리를 계속 내릴 수밖에 없는 다른 국가들과의 정책 격차는 더 벌어지면서 달러 강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원화도 최근 정치적 불안으로 너무 약해진 경향은 있지만, 약세 압력이 크게 완화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14:5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620,000
    • +1.05%
    • 이더리움
    • 2,752,000
    • +0.66%
    • 비트코인 캐시
    • 448,500
    • -1.97%
    • 리플
    • 3,076
    • -1.57%
    • 솔라나
    • 183,400
    • -1.98%
    • 에이다
    • 984
    • -1.01%
    • 이오스
    • 1,145
    • +13.14%
    • 트론
    • 351
    • +0%
    • 스텔라루멘
    • 393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730
    • -2.71%
    • 체인링크
    • 19,910
    • -1.63%
    • 샌드박스
    • 396
    • -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