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3구역, 5988가구 '미니 신도시' 거듭난다

입력 2024-12-24 09: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남3구역 재개발 사업 위치도. (자료제공=서울시)
▲한남3구역 재개발 사업 위치도. (자료제공=서울시)

서울 최대 규모 재개발 사업지인 한남3구역이 6000여 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재탄생 한다.

서울시는 제9차 도시재정비위원회에서 ‘한남3재정비촉진구역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을 수정가결 했다고 24일 밝혔다.

서울시 내 재개발 사업장 중 가장 규모가 큰 한남3구역(용산구 한남동 686번지 일대, 면적 38만6364㎡)은 2009년 10월 촉진구역 지정 후 2026년 착공을 목표로 현재 이주(이주율 96%)가 진행 중인 지역이다.

이번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으로 한남3구역은 지하 7층~지상 22층(73m), 127개 동, 5988가구(공공주택 1100가구 포함) 및 판매시설(7만2000㎡) 도입을 통해 미니 신도시급 단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이번 변경 역시 한남 지역의 높이 기준(반포대교·한남대교 남단 조망 기준, 남산 소월길 부감기준)을 준수해 960만 서울 시민이 남산과 한강을 공유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높이 기준과 건축물 주동 배치계획을 고려해 용도지역을 상향(제1종·제2종 일반주거 → 제2종·제3종 일반주거, 준주거) 했다. 도로 등 기반시설 재배치를 통해 공동 주택 용지를 확대(28만7096㎡ → 29만3577㎡) 했으며, 준주거지역 주거비율 완화(77%→90%)를 통해 조합의 일반분양분을 추가 확보하는 등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계획 기준 일부를 완화했다.

또한 구역 내 기존 세입자 중 공공주택 입주자격을 갖춘 세입자를 고려해 공공주택 1100가구(소셜믹스)를 확보했다. 지역주민 공유를 위해 축구장 2.5배 규모의 공원녹지를 분산배치 하고, 이태원 상가 밀집지역의 주차난 해소를 위해 대규모 입체 주차장(2개소)을 도입하는 등 공공성을 확보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실장은 “한남동 노후 주택지역이 남산과 한강이 어우러진 서울의 대표 고품격 주거지역으로 거듭날 전망”이라며 “최대개발 규모의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공공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09: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220,000
    • +2.47%
    • 이더리움
    • 2,812,000
    • +3.5%
    • 비트코인 캐시
    • 455,500
    • +0.6%
    • 리플
    • 3,156
    • +1.51%
    • 솔라나
    • 187,700
    • +0.91%
    • 에이다
    • 1,003
    • +1.31%
    • 이오스
    • 1,012
    • +11.95%
    • 트론
    • 354
    • +0%
    • 스텔라루멘
    • 402
    • +1.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690
    • +1.32%
    • 체인링크
    • 20,630
    • +2.03%
    • 샌드박스
    • 404
    • -0.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