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 중 생긴 스트레스로 극단 선택...法 “유족급여 지급해야”

입력 2024-12-29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근로복지공단 “업무상 부담 요인 확인되지 않아”
法 “업무적 요소 외에 뚜렷한 개입 요소 없어”

▲서울행정법원 (연합뉴스)
▲서울행정법원 (연합뉴스)

법원이 공사 현장에서 근무하다 생긴 스트레스로 극단적 선택을 한 관리감독자의 유가족에게 유족 급여를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재판장 박정대 판사)는 공사 현장에서 근무하다가 생긴 스트레스로 사망한 근무자의 유가족이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유족급여 및 장의비 부지급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공동주택 신축공사 현장의 전기통신공사 관리감독으로 파견 근무하던 A 씨는 2000년 6월 숙소 아파트 앞 화단에 추락해 사망한 채 발견됐다. A 씨 배우자인 원고 B 씨는 A 씨가 회사 업무로 스트레스를 받아 투신한 것이라며 피고 근로복지공단에 유족급여를 청구했다.

근로복지공단은 A 씨에게 업무상 부담 요인이 확인되지 않는다며 인과관계를 인정하지 않고 유족급여 부지급을 결정했다. 이에 B 씨는 근로복지공단의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재판부는 “A 씨가 담당하던 공사현장의 스트레스로 정상적인 판단능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추단되므로 원고의 주장은 이유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 사건 공사현장은 하청업체의 노임 미지급으로 공사가 지연됐다. 또한, 자금 사정 악화로 A 씨가 요구해 하청업체 현장소장을 교체했으나 신임 소장과의 갈등으로 공사에 지장이 발생했다. 업무일지에는 현장의 점검, 공사 공정에 관한 걱정, 공사 관계자들, 현장 소장과의 갈등 등이 기재돼 있었다. 자금 상황은 A 씨가 사비로 대금을 결제할 정도로 나빠졌다.

재판부는 “A 씨의 업무일지, 통화내용 및 동료 근로자들의 진술에 의하면 A 씨가 겪은 고통이 잘 드러난다”면서 “A 씨의 주식계좌 잔고증명 상으로도 특별히 주식투자 실패 등을 이유로 신변을 비관할 만한 일은 없음을 알 수 있다”고 봤다.

이어 “A 씨가 우울증과 그에 준하는 상태에 빠져 자살에 이르렀다고 봄이 상당하고 업무적 요소 외에 뚜렷한 다른 원인의 개입이 없다”며 “결국 업무적 부담과 스트레스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다고 추측할 이유가 상당하다”며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14:2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795,000
    • +0.93%
    • 이더리움
    • 2,758,000
    • +0.47%
    • 비트코인 캐시
    • 449,500
    • -1.9%
    • 리플
    • 3,086
    • -1.84%
    • 솔라나
    • 183,700
    • -2.29%
    • 에이다
    • 989
    • -1.2%
    • 이오스
    • 1,182
    • +17.73%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94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680
    • -3.03%
    • 체인링크
    • 20,030
    • -1.52%
    • 샌드박스
    • 397
    • -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