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 ICT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ICT 중소기업의 2023년 총 매출액은 약 219조 원, 총 영업이익은 약 1조1096억 원이다. 매출에서 비용을 차감하고 실질적으로 벌어들인 순이익은 -7632억 원이다.
ICT 중소기업의 경영을 좌지우지하는 건 다름 아닌 내수다. 매출이 줄어든 중소기업의 69.5%는 매출 감소 요인으로 ‘내수 부진’을 꼽았다. 매출이 늘어난 중소기업이 매출 확대 요인으로 가장 많이 꼽은 것도 ‘내수 확대’(78.5%)였다.
3고현상으로 인한 자금의 ‘돈맥경화’도 문제다.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난 데다 ‘대통령 탄핵’ 등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신용 리스크까지 겹쳐졌기 때문이다. ICT 중소기업 62.9%는 가장 큰 경영 애로사항으로 ‘자금 확보’를 선택했다. 이 밖에 ‘필요인력 확보’ 40%, ‘업계 내 과당 경쟁’ 34.9%,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 26.2%가 뒤를 이었다.
ICT 중소기업의 대다수인 81.6%는 주로 은행 등 일반금융을 통해 신규 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중 99.4%는 금융기관을 통해 자금조달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세부적인 원인으로는 ‘높은 금융비용(이자)’이 27.1%, ‘은행 대출 한도 부족’이 19.5%, ‘기술 담보 부족·미비’, ‘과도한 담보 요구 및 담보물 저평가’가 각각 14.2%, 13.5%였다. 한 ICT 관계자는 “ICT 분야 스타트업이나 소규모 기업은 돈을 조달하는 문제에 심각하게 직면해 있다”며 “금리도 높아서 대출받기도 힘든 상황”이라고 했다.
정부 정책자금을 통한 자금조달도 여의치 않다. 이를 위한 심사 절차가 복잡해 적은 인력으로 기업을 운영하는 중소 사업자에겐 정책 과제를 따낼 여력이 안 돼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ICT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케이 글로벌 프로젝트(K-Global) 액셀러레이팅’을 시행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에 선정되면 최대 3억 원의 정부지원금과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지만 이를 신청하기 위해선 최소 16개의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적합성 검토·선정평가·현장실사 및 사업비 심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ICT 중소기업의 경영난은 연구개발(R&D) 활동을 위축할 수밖에 없다. ICT 산업의 핵심 동력이 돼야 할 연구개발마저 줄어드는 것이다. ICT 중소기업들의 21.8%만이 기술을 자체 개발한다고 응답했다. 자체개발 시 애로사항으로는 ‘기술개발의 자금 부족’이 51.1%, ‘기술 개발 기간의 장기화’가 20.3% 꼽혔다. ‘개발인력의 잦은 이직’, ‘개발인력의 확보 곤란’ 등 R&D 인력에 따른 문제도 각각 11.2%, 10.3%였다.
이에 업계에선 ICT 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자금 공급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KOSI)은 연구 보고서에서 “정부는 시장에서의 기술혁신을 뒷받침하는 제도적 지원, 자금공급, 기술인력 확보, 판로확보,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 환경 조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중소기업 지원 사업은 소액의 단기 지원보다는 기술 개발 시 혁신성과 고용 기여도를 고려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