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고용지표 충격이 올해 1~2월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18일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5만2000명 감소했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난이 심화하고 있다. 전체 고용률은 61.4%로 0.3%포인트(p) 하락에 그쳤지만, 청년층은 44.7%로 1.3%p 급락했다. 건설업과 제조업 부진,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임시·일용직 일자리 감소, 경력 채용 중심의 채용 관행 변화 등의 영향이다.
이런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보다 각각 38만 명, 32만9000명 늘었다. 이후 3월부터 10만 명대로 둔화했다. 이에 따른 기저효과로 올해 고용 여건이 개선돼도 큰 폭의 취업자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 여기에 제조업, 건설업 부진, 긴급계엄 사태와 독감 유행에 따른 내수 부진 등도 단기간에 개선될 가능성이 작다.
특히 청년층 고용난이 심화할 우려가 크다. 3월 이후 기저효과 종료와 노인 일자리 등 직접 일자리 사업 조기 집행, 60대 이상 경제활동 증가로 전체 고용지표는 개선되겠지만, 민간기업 신규 채용에 의존적인 청년 고용지표가 개선되려면 근본적으로 경기가 회복돼야 한다.
구직·채용 관행 변화도 청년 고용의 제약요인 중 하나다. 한국노동연구원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500인, 매출 1조 원 이상) 100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채용 대비 공개채용 비중은 2019년 39.9%에서 2023년 35.8%로 하락하고, 신입 중 경력직 비중은 41.4%에서 46.1%로 상승했다. 응답 기업의 19.8%는 공개채용을 폐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런 이유로 청년들의 대학 졸업과 첫 취업 시기는 추세적으로 늦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49개월이었던 대학 졸업 소요 기간은 10년 뒤인 지난해 52개월로 늘었다. 같은 기간 대학 졸업 후 첫 취업까지 소요 기간도 10.6개월에서 11.5개월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