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원‧해군 이어 텍사스주 처음 규제 발표
일본도 공무원 대상 딥시크 사용 규제 검토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R1 공개로 테크업계를 강타한 중국 스타트업 AI 딥시크 사용 금지가 확산될 조짐이 보인다. 미 하원과 해군에서도 딥시크 AI 모델 사용이 금지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텍사스주가 주 차원에서 처음으로 딥시크 AI 모델 사용을 금지하면서다.
2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그렉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전날 성명을 통해 “텍사스는 데이터 수집 AI와 소셜미디어(SNS) 앱을 통해 중국 공산당이 우리 주의 중요 인프라에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딥시크의 정부 지급 기기에서의 사용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주 차원 규제는 텍사스주가 처음이다.
애벗 주지사는 딥시크와 함께 틱톡 대안으로 주목받은 중국 SNS 앱 샤오홍슈(RedNote)와 바이트댄스의 또 다른 SNS 앱 레몬8(Lemon8) 등도 금지했다. 그는 “텍사스는 적대적 외국 행위자로부터 우리 주를 계속 보호하고 방어할 것”이라며 “주정부 기관과 중요 인프라, 지적 재산, 개인정보를 다루는 직원들은 악의적 스파이 활동으로부터 보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CNBC방송은 지난달 28일 미 해군에서 딥시크 AI 모델 사용을 금지했다고 보도했다. 전체 해군 장병들에게 전달된 안내 메일에는 “딥시크 AI 모델은 출처 및 사용과 관련해 잠재적 보안 및 윤리적 우려가 있다”면서 “업무나 개인적 용도로도 딥시크의 AI를 사용하지 말라”고 공지됐다.
이어 30일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미 하원 최고행정책임자(CAO)가 “딥시크 사용이 공식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내부 공지를 의회 사무처와 의원실에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딥시크가 사용하는 기술은 현재 검토 중에 있기 때문에 결론을 내릴 때까지는 직원들이 휴대폰이나 컴퓨터, 태블릿에 딥시크를 설치해선 안 된다는 내용이다.
미국 외에 대만 디지털부와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기관 등도 AI 모델의 불투명성, 안보 우려의 이유들로 사용을 금지했다. 미국의 경우 연방 차원 규제 움직임은 감지되고 있지 않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국가적 통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 NHK방송 등에 따르면 일본에서도 규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은 오키나와현 나고시에서 진행한 강연에서 딥시크와 관련해 “데이터 보호 관점에서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거나 사용하려면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내각 사이버시큐리티센터(NISC)를 통해 움직일 거라고 전하며 “개인정보가 제대로 보호되고 있는지의 문제다. 이용자 개인정보를 지킨다는 관점에서 필요하다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