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산업생산 1.7%·설비투자 4.1% 증가
소매판매는 2003년 이후 21년 만에 최대 폭 감소
지난해 12월 산업생산 2.3%↑·소매판매 0.6%↓
지난해 우리나라 전산업생산이 반도체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1년 전보다 호조세를 보였다. 그러나 재화의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마이너스로 통계 작성 이래 최장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산업생산과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증가했다. 반면 소비는 ‘12·3 비상계엄’ 사태 등 영향으로 감소세로 전환했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산업생산지수는 113.6(2020년=100)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지난해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회복되면서 전년(1.0%)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특히 지난해 광공업 생산과 서비스 생산이 모두 늘어난 점이 전체 산업생산 호조세를 견인했다.
광공업생산은 전기장비, 1차 금속 등에서 줄었으나 반도체, 의약품 등에서 늘어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광공업 출하는 내수 출하가 2.0% 감소했으나 수출 출하가 4.0% 증가해 전년 대비 0.5% 증가했다.
서비스업생산은 도소매 등에서 감소했으나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반면 재화의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대비 2.2% 감소했다.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었던 2003년(-3.2%) 이후 21년 만에 최대 폭 감소다. 2022년(-0.3%), 2023년(-1.4%)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이는 통계 작성 이래 최장 연속 감소 기록이다.
승용차 등 내구재(-3.1%)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4%), 의복 등 준내구재(-3.7%)에서 판매가 모두 줄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2.9%)와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7.8%) 등이 호조를 보이면서 4.1%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4.1% 늘었다.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2.9%)와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7.8%) 등이 호조를 보인 영향이다.
건설기성은 전년 대비 4.9% 줄면서 2021년(-6.7%) 이후 최대 폭 감소를 기록했다. 토목(1.8%)에서 늘었지만, 건축(-6.9%)에서 공사실적이 줄어든 영향이다.
지난해 12월 전산업생산지수는 전월(11월)보다 2.3% 증가한 115.2를 기록했다. 생산은 지난해 9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다가 지난해 12월, 넉 달 만에 증가 전환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4.6%, 서비스업 생산은 1.7% 늘었다.
반면 재화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월 대비 0.6% 감소했다. 승용차 등 내구재(-4.1%)와 오락·취미·경기 용품 등 준내구재(-0.6%)에서 판매가 줄었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는 데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소매판매는 지난해 9월 이후 넉 달째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설비투자는 9.9% 늘면서 석 달 만에 증가 전환했다. 기계류 및 운송 장비에서 투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7개월째 마이너스였던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1.3% 늘며 8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7.6으로 전달과 같았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p) 하락한 100.6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