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 트럼프’ 밀레이, WHO 탈퇴 선언...“팬데믹 대처 미흡했다”

입력 2025-02-06 08:11 수정 2025-02-06 14: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파리기후협약 탈퇴도 검토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국제 홀로코스트 희생자 추모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후 홀로코스트 박물관에서 나서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로이터연합뉴스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국제 홀로코스트 희생자 추모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후 홀로코스트 박물관에서 나서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아르헨티나)/로이터연합뉴스

급진적인 정책과 괴짜 행동으로 ‘아르헨티나의 도널드 트럼프’로 불리는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를 공식화했다.

영국 B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마누엘 아도르니 아르헨티나 대통령실 대변인은 “밀레이 대통령이 외교부 장관에게 WHO 탈퇴 절차를 밟으라고 지시했다”면서 “이를 통해 보건 정책의 유연한 시행과 자원 가용성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아르헨티나 현지 언론도 밀레이 대통령이 며칠 내로 관련 행정명령에서 서명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기점으로 아르헨티나의 탈퇴 절차가 시작될 것이라고 전했다.

밀레이 정부는 WHO 탈퇴 결정을 내린 배경으로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기간 중 공중 보건에 관한 깊은 의견 차이“를 지목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WHO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우려도 탈퇴 결정의 이유로 들었다.

이는 2주 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WHO 탈퇴 절차를 시작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내놓은 주장과 같은 맥락이다.

아르도니 대변인은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전 행정부와 함께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코로나19 봉쇄 조처를 했지만, 결과는 좋지 못했다“면서 ”국제기구가 주권을 침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의 건강을 침해하는 것은 더욱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밀레이 대통령은 최근 미국과의 연대 강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밀레이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5일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트럼프를 만난 최초의 외국 정상이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치적 복귀”라면서 치켜세웠고, 트럼프 대통령은 밀레이에 대해 ”내가 가장 좋아하는 대통령”이라고 화답하기도 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미국처럼 파리기후협약에서 탈퇴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BBC는 “더 큰 문제는 밀레이 대통령처럼 트럼프 대통령의 세계관을 공유하는 다른 국가 정상들이 비슷한 조치를 취할지”라며 “더 많은 국가가 탈퇴를 선언한다면 WHO의 신뢰성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짚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세계 주문 쏟아지는데…주 52시간에 멈춰선 삼성전자 [반도체, 韓생존 달렸다②]
  • 율곡로 등 안국역 주변도로 통제中…윤석열 탄핵심판 6차 변론
  • '나는 솔로' 24기 옥순, 男 5명 선택에 "올 게 왔구나"…영식 "몸매 제일 예뻐"
  • [날씨] 서릿발 추위 기승…강풍에 체감온도 영하 18도로 '뚝'
  • 단독 삼성전자, 차세대 RGB 마이크로 LED TV 연내 출시한다
  • 취업만 되면 어디든 다니겠다는 취준생들…"원하는 연봉은 3400만 원" [데이터클립]
  • "밴댕이 소갈딱지"…속 좁은 그 생선을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불확실성 커지는 요즘…금테크로 안전자산 투자해볼까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06 14:5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2,120,000
    • -0.59%
    • 이더리움
    • 4,410,000
    • +3.4%
    • 비트코인 캐시
    • 516,000
    • -0.48%
    • 리플
    • 3,787
    • -3.17%
    • 솔라나
    • 314,400
    • -1.69%
    • 에이다
    • 1,175
    • +0.69%
    • 이오스
    • 952
    • -0.21%
    • 트론
    • 353
    • +0.57%
    • 스텔라루멘
    • 524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50
    • -1.32%
    • 체인링크
    • 30,770
    • -0.13%
    • 샌드박스
    • 616
    • -0.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