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환경부는 6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으며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등 부처들도 이날 차단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환경부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면서 국가 주요 기반시설 중 하나인 댐 운영을 담당하는 한국수자원공사도 이날 중 딥시크 접속을 차단할 예정이다.
앞서 원자력 발전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전날 임직원에게 국가 보안 기술인 원전 관련 업무 사항을 챗GPT와 딥시크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에 업로드 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생성형 AI에 업무 관련 사항을 업로드하지 말 것을 직원들에게 공지했다"라며 "개인적인 사용은 상관없다"고 말했다.
원전과 관련된 내용은 국가 기밀 사항으로 생성형 AI와 같은 오픈형 플랫폼에 이 같은 내용을 업로드 하는 것은 데이터 유출 등 정보 보호에 치명적이다.
송전 설비 정비 공기업인 한전KPS 역시 한수원과 마찬가지로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대통령실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지는 않았지만 애초부터 외부 프로그램 접속이 안된다는 설명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딥시크 관련 지침이 따로 내려오진 않았는데 애초에 외부 프로그램 같은 건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국회는 아직 딥시크를 차단하지 않은 상태다. 국회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내부망(업무망)과 외부망(일반 인터넷망)이 분리돼 있다. 내부망의 경우 외부 인터넷 접속 자체가 불가능하지만, 외부망의 경우 가능하다. 현재 외부망을 통해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하다.
반면 챗GPT는 정보당국에서 마련한 생성형 AI 활용 수칙에 따라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기에 접속을 차단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