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25/02/600/20250206151454_2133741_647_431.jpeg)
금융감독원이 6일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CEO) 및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닥사) 등과 현안 간담회를 열고 작년 비상계엄 사태날 발생한 가산자산의 전산장애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이종오 금감원 디지털·IT 부원장보 주재로 개최된 이날 간담회에서는 두나무, 빗썸,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 등 5곳과 CEO, 최고기술자(CTO), 닥사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최근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등의 영향으로 가상자산 활성화에 대한 기대와 함께 가상자산사업자의 역할은 확대하고 있다.
금감원은 가상자산사업자의 IT 안정성 확보와 이용자 피해보상에 대한 경영진의 관심과 대응방향 마련을 당부했다.
이종오 부원장보는 "계엄 직후 주요 사업자의 거래 중단 등 사업자의 전산장애가 반복되면서 이용자 피해 및 시장 신뢰도 하락에 대한 우려가 증가 중"이라고 했다.
이어 "24시간 운영되는 가상자산시장의 특성을 감안해 금융회사 이상의 IT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전사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금감원은 전산장애 발생 사업장에 대해 지난해 12월 지난달 2차례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재발방지대책 이행 현황 점검했다.
이를 통해 전산장애 발생 주요 원인은 서버와 인프라 투자 부족으로 보고,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업계에서는 관련 민원을 수용해 두나무와 빗썸은 보상금을 각각 31억 원, 5억 원가량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또 전산장애 등 사고 발생 시 전담 대응팀 운영, 보상·소통체계 구축 등을 통해 이용자 피해 최소화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내규, 업무매뉴얼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세부내용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며 "합리적 보상 내규를 마련해 일관되게 처리할 것"으로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