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전년 대비 1.8%, 영업이익 13.5% 감소
"저수익 플랫폼 사업 과감히 정리하고 AX 집중"
통신 시장 둔화 속에 LG유플러스 영업이익이 3년째 감소했다. LG유플러스는 수익성 없는 사업은 정리하고, 인공지능 전환(AX)에 선택과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연간 매출 14조 6252억 원, 영업이익 8631억 원(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을 기록했다고 6일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3.5%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35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44% 떨어졌다.
LG유플러스 측은 신규 통합 전산 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무형 자산 상각 비용과 통상 임금 범위 확대 판결에 따른 4분기 일회성 인건비 등 반영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자회사인 LG헬로비전의 실적 악화도 영향을 미쳤다. LG헬로비전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35억 원으로 71.5% 감소했다. 유료방송 시장 상황 악화 속에 사측은 자회사인 LG헬로비전 유·무형자산 손상차손 등의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최근 3년간 LG유플러스 실적은 둔화하고 있다. 매출은 2022년 11조 4106억, 2023년 6364억으로 소폭 늘었지만, 전년 대비 증가율(YoY)는 2022년 3.1%, 2022년 2.0%, 204년 1.8%로 지속해서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22년 1조 813억 원에서 2023년 9980억 원, 2024년 8631억 원으로 줄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AI 신사업 육성 중심으로 사업 재편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수익성이 낮은 비핵심 사업은 정리한다. 정리될 저수익 사업은 대부분 플랫폼 사업이다. LG유플러스는 최근 화물 중개 플랫폼 '화물잇고', 드론 배달 서비스 'U+ 스마트드론' 서비스를 중단했으며, 스포츠 플랫폼 '스포키'도 종료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최고리스크책임자(CRO) 전무는 이날 오후 콘퍼런스콜을 통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자원을 재분배로 경쟁력과 자생력 부족한 저수익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겠다"며 "상반기 중으로 정리할 사업은 정리 하고 개선할 부분은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AI 서비스 사업과 함께 기업 인프라 부문도 강화한다. 2027년 준공 예정인 파주 AIDC를 필두로 AI 인프라 시장을 선점하는 동시에 차세대 냉각 솔루션 개발을 통해 에너지 효율과 운영 안정성을 강화, IDC를 B2B AI 사업의 중심축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LG 유플러스는 홍범식 대표를 새로운 수장으로 맞이한 이후 AX 중심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컨슈머 부문에서 AI Agent 그룹을 신설하고, 최고기술책임자(CTO) 직속 Agent/플랫폼개발 Lab을 신설했다. 해당 조직은 AI 관련 주요 기술 및 신규 서비스 개발을 담당한다. 또 구성원의 AX 역량 확보 및 고도화 지원을 위해 최고인사책임자(CHO) 직속 AX/인재개발담당 조직도 신설했다.
여명희 전무는 "휴대폰 규체 주기가 길어지고 단통법 폐지로 사업자간 소모적 경쟁 벌이기 적합한 상황이 아니라 통신시장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려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라면서 "AX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과 기존 사업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구조 개편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