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쇼핑몰 사기 피해, 2년 새 5배 늘었다…“인스타ㆍ유튜브로 광고”

입력 2025-02-1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소비자원, 국제거래 소비자포털 통계 조사 결과 발표

# 20대 여성 김 모씨는 인스타그램 광고를 통해 유명 브랜드 홈페이지와 비슷한 한 아울렛 사이트를 알게 됐다. 저렴한 가격에 혹한 김 씨는 이 곳에서 옷을 구매하고 90달러 가량을 결제했지만 2주가 지나도록 아무런 소식도 들을 수 없었다. 이후 이 사이트가 브랜드를 사칭한 가짜사이트라는 것을 알게 됐다.

김 씨 사례와 같이 SNS를 악용한 해외직구사기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4일 소비자원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해외직구 사기성 쇼핑몰 상담건수는 2021년 251건에서 2022년 441건, 2023년 1372건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인스타그램, 유튜브와 같이 일반 소비자들의 이용도가 높은 플랫폼을 통해 가짜 사이트 광고가 이뤄지면서 사기피해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소비자원이 접속경로가 파악된 상담건수 1820여 건을 분석한 결과 10건 중 8건(82.3%)가 SNS를 통해 접속한 것으로 파악됐다. 비중 별로는 인스타그램이 41.8%(762건), 유튜브가 25.3%(460건) 순이었다.

주요 피해 유형을 보면 ‘브랜드 사칭’이 절반 가까이(47.1%, 972건)를 차지했다. 판매자가 유명 패션 브랜드를 사칭해 쇼핑몰을 운영하고 결제가 이뤄진 뒤엔 제품을 배송하지 않고 잠적하는 수법이다. 그 뒤를 이어 저품질 제품 판매가 46.5%(959건)을 차지했다. 광고와 달리 저질 제품을 판매하고 환불을 해주지 않는 식이다.

이에 소비자원은 유명 브랜드 상품을 지나치게 싼 가격에 판매하는 소셜미디어 광고는 일단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가짜 사이트 여부 확인을 위해서는 브랜드 홈페이지 공식 누리집을 방문해 인터넷 주소(URL)를 비교하거나 구매 후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또 피해 발생을 대비해 광고화면이나 구매내역을 캡처하는 등 증빙자료를 남겨두고 신용카드로 결제했다면 카드사에 ‘차지백 서비스’를 신청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CXL 양산 코앞”…삼성전자, CXL 2.0 D램 전파 인증 획득
  • 설비투자에 R&D까지 ‘쓸 곳 많은데’…K바이오 자금조달 잰걸음
  • [날씨] 서풍 불며 '낮 최고 12도'…겨울 한파 물러간다
  • 단독 금감원 ‘고정금리 행정지도' 목표비율 4대 은행 중 3곳 ‘미달’
  •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 유래는?
  • '나솔사계' 22기 옥순♥경수, 결혼 전 찐 부부 바이브…아들 목욕 시키며 화기애애
  • "이젠 자유로운 부동산 파티?!"…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왜? [왁자집껄]
  • 중세의 낭만은 빼고 현실감은 가득 채운 오픈 월드 RPG ‘킹덤컴:딜리버런스2’ [딥인더게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98,000
    • -1.02%
    • 이더리움
    • 4,039,000
    • -1.82%
    • 비트코인 캐시
    • 508,500
    • -1.36%
    • 리플
    • 3,871
    • +4.23%
    • 솔라나
    • 294,500
    • -0.34%
    • 에이다
    • 1,213
    • +1.34%
    • 이오스
    • 975
    • -1.52%
    • 트론
    • 354
    • -3.28%
    • 스텔라루멘
    • 513
    • +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900
    • -2.28%
    • 체인링크
    • 28,000
    • -2.51%
    • 샌드박스
    • 597
    • -1.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