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씨 사례와 같이 SNS를 악용한 해외직구사기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4일 소비자원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해외직구 사기성 쇼핑몰 상담건수는 2021년 251건에서 2022년 441건, 2023년 1372건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인스타그램, 유튜브와 같이 일반 소비자들의 이용도가 높은 플랫폼을 통해 가짜 사이트 광고가 이뤄지면서 사기피해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소비자원이 접속경로가 파악된 상담건수 1820여 건을 분석한 결과 10건 중 8건(82.3%)가 SNS를 통해 접속한 것으로 파악됐다. 비중 별로는 인스타그램이 41.8%(762건), 유튜브가 25.3%(460건) 순이었다.
주요 피해 유형을 보면 ‘브랜드 사칭’이 절반 가까이(47.1%, 972건)를 차지했다. 판매자가 유명 패션 브랜드를 사칭해 쇼핑몰을 운영하고 결제가 이뤄진 뒤엔 제품을 배송하지 않고 잠적하는 수법이다. 그 뒤를 이어 저품질 제품 판매가 46.5%(959건)을 차지했다. 광고와 달리 저질 제품을 판매하고 환불을 해주지 않는 식이다.
이에 소비자원은 유명 브랜드 상품을 지나치게 싼 가격에 판매하는 소셜미디어 광고는 일단 의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가짜 사이트 여부 확인을 위해서는 브랜드 홈페이지 공식 누리집을 방문해 인터넷 주소(URL)를 비교하거나 구매 후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또 피해 발생을 대비해 광고화면이나 구매내역을 캡처하는 등 증빙자료를 남겨두고 신용카드로 결제했다면 카드사에 ‘차지백 서비스’를 신청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