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35% “한중 FTA 2단계 협상, 추가 관세 인하‧면제 확대 필요”

입력 2025-02-18 10: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 재개 시 국내 기업의 관세 혜택을 늘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중견기업계 의견이 나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18일 중국 수출 중견기업 102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중견기업 중국 진출 애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중견기업의 34.3%가 자동차 부품, 반도체 웨이퍼‧제조기기 등 15개 품목에 대한 한중 FTA 상 추가 관세 인하, 면제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자동차, 반도체는 물론 조선‧선박 부품, 특수 가스 및 화학제품 등 다양한 분야의 중견기업이 한중 FTA 관세 수준의 실효성이 낮다고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중 FTA에 기반한 중국 시장 진출의 사업성 제고와 교역 균형 확보를 통한 상호 협력 강화를 위해 충실히 재검토돼야 할 지점”이라고 설명했다.

중견기업의 29.4%는 중국의 비관세 장벽을 경험했다. 이들이 겪은 내용은 ‘기술 규제(40%)’, ‘통관 지연(36.7%)’ 등이다.

35.3%의 중견기업은 한중 FTA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FTA 관련 정보 부족(30.6%)', '비용 절감 효과 미미(25%)' 등의 이유다.

중견련은 “재개하기로 합의한 한중 FTA 2단계 협상이 대내외 사정으로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의 구체적인 애로를 폭넓게 수렴해 협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보 제공, 컨설팅 등 한중 FTA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중 FTA와 별개로 중견기업의 중국 진출을 뒷받침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관세 추가 인하 및 양허 품목 확대(37.3%)'가 꼽혔다. ‘기존 관세 인하 속도 가속화(22.5%)', ‘서비스 및 투자 시장 개방 확대(16.7%)’, ‘투자자 보호 및 투자 안정성 강화(13.7%)' 등이 뒤를 이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7%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중견기업의 성과 제고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종별 추가 관세 인하 등 현장의 요구에 기반한 정부의 협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대학생 근심 덜어주는 ‘국가장학금’, 올해부턴 수혜 대상 1.5배 확대…나도 대상일까? [경제한줌]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움츠렸던 삼성 '엑시노스' 재시동… 폴더블폰 첫 탑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179,000
    • -7.29%
    • 이더리움
    • 3,437,000
    • -13.27%
    • 비트코인 캐시
    • 410,300
    • -11.04%
    • 리플
    • 3,122
    • -13.95%
    • 솔라나
    • 197,900
    • -15.64%
    • 에이다
    • 956
    • -11.89%
    • 이오스
    • 781
    • -13.8%
    • 트론
    • 335
    • -6.94%
    • 스텔라루멘
    • 413
    • -11.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330
    • -8.81%
    • 체인링크
    • 21,060
    • -14.25%
    • 샌드박스
    • 418
    • -14.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