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일드펀드 분리과세 혜택 종료, 비우량등급 채권 투자수요 위축 우려”

입력 2025-02-21 08: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이일드펀드 분리과세 혜택이 종료된 이후 비우량등급 채권 투자수요가 위축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앞서 2023년 개정 조세특례제한법에서 도입되었던 하이일드펀드에 대한 분리과세 혜택이 2024년 12월로 종료했다.

21일 DB금융투자는 "2017년 12월 분리과세 혜택이 종료된 이듬해 2018년 하이일드펀드 설정액이 약 1800억 원 감소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분리과세 혜택 종료는 비우량등급 채권 투자수요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분리과세 혜택은 비우량등급 투자수요를 지지하는 기반 역할을 해왔다. 기존의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공모펀드의 경우 BBB+등급 이하 회사채와 A3+등급 이하 전단채를 45% 이상 편입해야 했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 기준 공모, 사모 하이일드펀드 설정액은 현재 1조746억 원으로 2023년 말 5548억 원 대비 약 2배가량 증가했다. DB금융투자는 하이일드펀드가 성장한 주된 동력으로 분리과세 혜택과 공모주 우선배정 혜택 2가지를 꼽았다.

박경민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분리과세 혜택은 과거 2014년 3월부터 2017년 12월, 2023년 6월부터 2024년 12월 두 차례 적용된 바 있다. 이 시기 하이일드펀드 설정규모는 1조 원을 웃돌았으며 펀드 수도 50개 내외로 큰 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작년 연간으로 발행된 BBB급 회사채 규모가 2조6023억 원, A3급 전단채가 4조9047억 원으로 총 7조5050억 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발행 물량의 일정 부분 소화를 하이일드펀드 수요가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작년 비우량회사채 발행 물량의 일정 부분을 하이일드펀드 수요가 소화했다는 점에서 분리과세 혜택 종료로 작년에 비해 비우량등급 채권 투자수요는 위축될 수 있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은행 지점 찾기 어렵네”…ATM 수도 ‘뚝’ [용두사미 대체점포]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움츠렸던 삼성 '엑시노스' 재시동… 폴더블폰 첫 탑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15: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140,000
    • -4.56%
    • 이더리움
    • 3,617,000
    • -8.94%
    • 비트코인 캐시
    • 423,300
    • -8.55%
    • 리플
    • 3,313
    • -8.66%
    • 솔라나
    • 204,000
    • -12.22%
    • 에이다
    • 991
    • -8.33%
    • 이오스
    • 809
    • -11%
    • 트론
    • 349
    • -1.97%
    • 스텔라루멘
    • 431
    • -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890
    • -6.57%
    • 체인링크
    • 21,650
    • -11.7%
    • 샌드박스
    • 432
    • -12.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