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에도…은행권 “대출금리 내리기 어려워”

입력 2025-02-25 14: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준금리 3.00%→2.75%
대출금리는 오름세
"가계대출 쏠림 관리해야"

은행권은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당장 대출금리를 내리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금통위는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p) 인하했다. 기준금리는 2022년 10월 2.50% 이후 2년 4개월 만에 2%대에 진입했다.

기준금리는 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낮아지면 보통 대출금리가 떨어진다. 그러나 지난해 말 기준금리 인하 이후에도 은행들의 대출금리는 오히려 상승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신규 취급액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지난해 12월 평균 가계 대출 금리는 연 4.49~5.17%다. 금리 인하 전인 지난해 9월(4.04~4.47%)과 비교해 0.45~0.7%p 올랐다.

금통위의 이번 결정에도 금융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대출금리 인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은행권은 지난해 하반기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관리 강화 방침에 따라 가산금리, 우대금리 조정으로 대출 수요를 억제하고 있는 만큼 대출금리를 쉽게 내릴 수 없다는 반응이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이미 시장에 선반영돼 있다는 의견도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산정 기준이 되는 금융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전일 기준 2.983%로 1월 초(2.999%)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계부채 총량관리를 이유로 당장 대출금리 인하를 검토하고 있진 않다”며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의 대출금리 인하로 주택 매수심리가 다시 살아나면 부동산 시장 쏠림 현상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기준금리 인하와 관련해 "최근 서울 일부 지역 부동산 회복세, 이사 철 매매 수요 등이 금리 인하 기대감과 맞물려 가계대출 쏠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안정적 관리를 유도하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중국서 신종 코로나 발견?…‘코로나19 시절’ 재공포감 [해시태그]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대학생 근심 덜어주는 ‘국가장학금’, 올해부턴 수혜 대상 1.5배 확대…나도 대상일까? [경제한줌]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555,000
    • -6.84%
    • 이더리움
    • 3,480,000
    • -11.07%
    • 비트코인 캐시
    • 412,800
    • -9.67%
    • 리플
    • 3,167
    • -11.41%
    • 솔라나
    • 200,200
    • -13.33%
    • 에이다
    • 968
    • -9.11%
    • 이오스
    • 786
    • -11.98%
    • 트론
    • 336
    • -6.15%
    • 스텔라루멘
    • 416
    • -9.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570
    • -7.49%
    • 체인링크
    • 21,370
    • -11.36%
    • 샌드박스
    • 425
    • -11.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