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 AI 도입 위해선 탈중앙화된 인프라 필수…“무신뢰성 때문”
“블록체인, AI 산업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는 사례 늘어날 것”

디스프레드 리서치가 탈중앙화된 인공지능(AI) 인프라를 활용이 웹3 기반 AI 시장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의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디스프레드 리서치에 따르면 AI 기술 발전으로 블록체인 산업 분야에서도 AI와의 결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 업체 메사리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기준 블록체인과 결합한 AI 섹터의 투자유치 금액은 전년 대비 100% 증가했으며, 투자 라운드 수도 약 138% 상승했다.
디스프레드 리서치팀은 “여타 산업 분야와 소규모 스타트업 사이에서 AI 도입을 시도하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특히 블록체인 업계에서 이런 문제가 더 두드러진다”고 했다.
관련 뉴스
이어 “더 많은 프로토콜이 AI를 안정적으로 도입해 이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탈중앙화된 AI 인프라의 발전이 필수적”면서 “이는 웹3가 무신뢰성을 지녀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탈중앙화된 AI 인프라 플랫폼으로 △알로라(Allora) △비트텐서(Bittensor) △겐신(gensyn) 등을 소개했다.
이중 알로라는 탈중앙 추론 합성 네트워크다. 특정 상황에 최적화된 예측을 제공한다. 알로라에서는 AI 모델 구동 주체(운영자)가 자유롭게 특정 토픽에 대한 예측을 실행하고, 프로토콜은 개별 모델이 도출한 추론 값을 종합해 최종 예측 값을 산출한다.
알로라는 △인센티브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알로라 MDK) 등을 통해 AI 모델들이 프로토콜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실제 결과값과 각 모델의 추론 값을 비교해 보다 정확한 추론을 내놓은 모델에게 높은 가중치와 인센티브를 부여해 누구나 알로라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통해 AI 모델을 쉽게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더 많은 모델들을 프로토콜에 유입시켜 일종의 ‘집단 지성’을 발휘해 추론·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리포트는 “웹3 프로젝트들은 탈중앙화된 추론에 대해 높은 수요를 갖고 있다”며 “AI 모델이 온체인 데이터를 활용해 프로젝트별 맞춤형 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리포트를 작성한 김병준 디스프레드 리서처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AI의 편향된 판단이나 특정 기업의 AI 시장 독점 등과 같은 현재 AI가 직면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며 "앞으로 블록체인이 AI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으며 주목받는 사례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