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원장 "강한 책임 묻겠다" 경고

금융감독원이 전·현직 임직원 관련 부당대출 사고가 발생한 IBK기업은행에 대한 검사를 마무리했다. 당초 예정된 기한을 훌쩍 넘겨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는 사고를 일으킨 직원의 추가 대출 정황과 제3의 직원 연루 사실 등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금융사고 규모도 예상보다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21일 금감원 관계자는 "절차적인 처리가 남아 극소수의 인원이 하루 정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나기업은행에 대한 검사는 사실상 종료됐다"면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심사를 거쳐 제재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기업은행은 지난달 9일 업무상 배임으로 239억5000만 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서울 강동구 소재 지점들에서 부동산 담보 가격을 부풀려 담보보다 많은 대출을 승인해 준 것이 문제가 됐다. 불법 대출은 2022년 6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된다.
이번 불법 대출은 퇴직 후 부동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직 기업은행 직원과 친분 관계가 있는 대출 담당자가 공모해 이뤄졌다. 기업은행은 자체 감사를 통해 적발하고 금감원에 보고했다.
AI 추천 뉴스
당초 금감원은 지난달 21일까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추가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늘어나면서 금감원은 검사를 세 차례 연장했다. 금감원은 부당대출에 연루된 직원이 취급한 의심 대출을 모두 들여다보고, 은행 측이 보고한 사고와 관계된 책임자들의 역할과 관리 부실 여부까지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기업은행 본점은 물론 사고가 발생한 강동지역 지점에도 인력을 파견해 검사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부당대출에 연루된 기존 직원 4명뿐 아니라 새로운 직원의 연루사실이 드러났으며, 부당대출 연루 직원과 대출자가 친인척 관계라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이번 부당대출 사고 규모가 당초 공시한 240억 원을 훨씬 초과한 규모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번 수시검사에 대한 결과 통보는 5개월 이내에 이뤄지게 되는데 부당대출 규모가 예상보다 커질 경우 기업은행은 중징계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복현 금감원장이 이달 18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아주 심각하고 큰 책임을 물으려고 생각한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한 상황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제 막 검사를 마친 만큼 제재 수위와 관련해서는 아직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며 "검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한 뒤 적절한 조치를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