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실물이전 3달만 증권사로 4000억 순유입 ‘웃음꽃’…수익률 최고

입력 2025-02-23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미지투데이)
(이미지투데이)

금융감독원과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10월 말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를 도입한 지 3개월 만에 적립금 2조4000억 원, 서비스 3만9000건의 계좌 이전을 완료했다고 23일 밝혔다.

실물이전이란 퇴직연금 가입자가 계좌 내 운용 중이던 상품을 매도하지 않고 다른 퇴직연금 사업자의 계좌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보유 상품의 해지 없이도 퇴직연금 운용사를 변경할 수 있어 중도해지 금리 비용이나 재매수 과정에서 시장 손실을 최소화해 선택권을 확대할 수 있다.

이전 적립금 중 75.3%(1조8000억 원)는 계좌 내 운용 중이던 상품이 그대로 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24.7%)는 수탁사와 이관사 간 상품 불일치에 따라 상품 매도 또는 해지를 통해 이전을 완료했다.

업권별 실물이전 경로를 보면 '은행→은행'(7989억 원)이 가장 많았고, '은행→증권사'(6491억 원), '증권사→증권사'(4113억 원) 순이었다.

순유입 금액이 가장 많은 곳은 증권사로 4051억 원이 순증한 반면, 은행은 순유출 4661억 원을 기록해 전반적으로 증권사에 대한 실물이전 이동이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형IRP(IRP)가 38.4%, 확정급여형(DB) 36.2%, 확정기여형(DC) 25.4%가 이동하는 등 비교적 퇴직연금 제도별로 고르게 분포됐다.

운용 주체에 따라 선호하는 퇴직연금 사업자의 업권도 나뉘었다.

근로자가 직접 적립금을 운용하는 IRP·DC형은 증권사가 각각 3753억 원, 2115억 원 순증을 기록한 반면, 사용자가 적립금을 운용해 근로자에게 확정된 퇴직급여를 지급하는 DB는 보험사·은행에서 각각 1050억 원, 768억 원 늘었다.

양 기관은 실물이전을 원하는 가입자의 편의성을 위해 상반기 내로 계좌내 보유 상품의 실물이전 가능 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사전조회 서비스'를 추가 개발·오픈할 계획이다.

또 'DC→IRP' 계좌 실물이전도 가능하도록 해 가입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금융기관 간 수익률 경쟁을 촉진한다.

금융감독원은 "퇴직연금 사업자 간 서비스 기반의 건전한 경쟁이 촉진되어 향후 퇴직연금의 수익률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은행 지점 찾기 어렵네”…ATM 수도 ‘뚝’ [용두사미 대체점포]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움츠렸던 삼성 '엑시노스' 재시동… 폴더블폰 첫 탑재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15:2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601,000
    • -4.81%
    • 이더리움
    • 3,616,000
    • -8.85%
    • 비트코인 캐시
    • 421,400
    • -9.02%
    • 리플
    • 3,281
    • -9.34%
    • 솔라나
    • 202,400
    • -12.68%
    • 에이다
    • 987
    • -8.7%
    • 이오스
    • 804
    • -11.45%
    • 트론
    • 344
    • -2.82%
    • 스텔라루멘
    • 426
    • -8.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630
    • -6.8%
    • 체인링크
    • 21,610
    • -11.94%
    • 샌드박스
    • 429
    • -12.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