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반도체 기술 수준, 2년 만에 韓 앞서 "인재 양성 필요"

입력 2025-02-23 16: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초역량, 사업화 등 관점에 따른 2024 기술수준평가 결과 (자료출처=KISTEP)
▲기초역량, 사업화 등 관점에 따른 2024 기술수준평가 결과 (자료출처=KISTEP)

중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이 2년 만에 한국을 대부분 앞섰다는 전문가들의 설문 결과가 나왔다. 한국이 위기의식을 가지고 인재 양성 등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이 발간한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에 따르면 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 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봤을 때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에서는 한국이 90.9%로 중국의 94.1%보다 낮은 2위를 기록했다.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기술 분야 역시 한국이 84.1%로, 중국(88.3%)보다 낮았다.

전력반도체는 한국이 67.5%, 중국이 79.8%였다.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도 한국이 81.3%로 중국보다 83.9% 낮았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 분야는 한국과 중국이 74.2%로 같게 평가됐다.

기술 수준을 사업화 관점에서 평가했을 때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첨단패키징기술에서만 중국을 앞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설문 참여 전문가들은 2022년 진행된 기술수준평가에 참여한 이들이다. 당시에는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 반도체 첨단 패키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은 한국이 중국보다 앞서있다고 평가했지만 2년 만에 결과를 뒤집은 것이다.

반도체 분야 전체를 대상으로 기술 생애주기를 평가한 설문조사에서도 한국은 공정과 양산에서는 중국을 앞서있지만, 기초·원천 및 설계 분야에서는 중국에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반도체 기술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로 △핵심인력 유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시장이 일본과 중국의 부상, 미국의 제재, 동남아시아의 급성장 등 대내외적 불확실성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국내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작은 점 등을 지적하며 전망이 밝지 않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 △시스템반도체 분야 생태계 확대 △핵심인재 양성 및 기존 인재 유출 방지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대출금리 하락 '기대감'
  • MWC 출격하는 이통3사…AI 패권 경쟁 불붙었다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차세대 AI PC 시장 공략"…삼성D, 인텔과 협력 '맞손'
  • 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8% 올랐다
  • 50년 뒤 성장률 0.3%ㆍ나랏빚 7000조 돌파, 연금 2057년 고갈
  • '손흥민 8·9호 도움' 토트넘, 입스위치 꺾고 리그 12위 '유지'
  • 임영웅, 2월 '트로트가수 브랜드평판' 1위…2위 박지현·3위 이찬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557,000
    • -1.56%
    • 이더리움
    • 4,115,000
    • +2.08%
    • 비트코인 캐시
    • 479,600
    • +1.72%
    • 리플
    • 3,751
    • -1.83%
    • 솔라나
    • 248,100
    • -3.35%
    • 에이다
    • 1,139
    • +0.18%
    • 이오스
    • 944
    • +1.4%
    • 트론
    • 355
    • +1.14%
    • 스텔라루멘
    • 484
    • -0.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400
    • +0.82%
    • 체인링크
    • 25,980
    • +0.04%
    • 샌드박스
    • 516
    • -2.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