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처럼 재사용"…우주위, 차세대 발사체 계획 변경 의결

입력 2025-02-25 16: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가우주위원회, 차세대 발사체 사업 계획 변경 검토
"2032년 달 착륙선 임무+재사용 경제성 고려"

▲방효충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이 25일 제3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우주항공청)
▲방효충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이 25일 제3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우주항공청)

국가 우주위원회가 스페이스X와 같은 재사용 발사체 개발에 착수한다. 달 착륙선 제작을 위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 계획을 바꿔 재사용 발사체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주항공청은 25일 오후 2시 방효충 부위원장(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주재로 제3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차세대발사체 사업 개선 추진계획 등 총 7건의 안건을 검토했다고 밝혔다. 우주위원회는 우리나라 우주정책에 대한 최상위 의결 기구다. 지난해 5월 우주항공청 개청과 함께 위원장이 대통령으로 격상됐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사전브리핑에서 "최근에 스페이스X가 팰컨9을 통해서 재사용발사체를 개발하고 지난해 전 세계 발사 횟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 상업용 발사체 시장에서도 80%를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차세대 발사체 개발 과정에서 좀 더 경제성 있는 발사체를 개발하는 방안을 고민해 왔고, 이에 따라 변경 검토를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윤영빈 청장은 "우주항공청이 바라는 차세대 발사체의 모습은 2032년도에 달 착륙선이라는 임무를 수행하면서 경제성을 고려한 발사체로 변경하고자 하는 안"이라고 밝혔다.

차세대 발사체는 총 사업비 2조 132억 원 규모로 2022년 11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누리호 후속 대형 발사체 추진 사업이다. 대형 위성 발사와 함께 달 착륙선 개발, 상업용 달 운송 사업인 CLPS(Commercial Lunar Payload Services) 시장 진출을 모색 중이다.

위원회 의결로 차세대 발사체 사업은 사업 자체의 변경 내용과 예산 등을 고려한 행정절차를 거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의 특정 평가와 기획재정부 산하의 적정성 재검토 과정을 거친 뒤 변경안을 확정하게 된다. 변경된 예산 규모는 올해 하반기 확정될 전망이다.

"한화-항우연 지재권 갈등, 조만간 합의에 이를 것"

차세대 발사체 사업의 지적재산권을 놓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해부터 갈등을 빚고 있다. 이에 대해 윤영빈 청장은 "우주청이 좀 더 적극적인 중재를 하는 과정에서 지재권 문제는 조만간에 합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윤 청장은 이어 "저비용화된 발사체 모습을 갖고 있어야 세계 시장에 진출이 가능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우주항공청이 제안하는 변경안에 대해서는 분명히 동의하리라 생각한다"면서 "그런 차원에서 지재권 문제도 함께 풀어나갈 수 있는 아주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는 사업 변경안이라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우주항공청은 차세대 발사체의 연료도 변경도 검토한다. 메탄이 기존 케로신 대비 재사용할 때 장점이 크다는 판단이다. 윤 청장은 "메탄은 침전물이 적고 쿨링 채널의 코킹 현상(코팅이나 오염물질이 쌓이는 현상)에서도 문제점이 덜한 연료"라면서 "미국의 팰컨9은 케로신 연료 기반이지만 전 세계 재사용발사체를 개발하고자 하는 나라에서는 메탄 기반의 발사체를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에서는 달 대신 화성을 중점으로 두려는 변화 기류도 보인다. 윤 청장은 이에 대해 "화성 탐사까지 같이하면 제일 좋겠지만, 기본적으로 달 탐사가 일단은 우선"이라며 "NASA의 국장도 바뀌고 여러 변화가 예견되는데, 그에 따라 우리 우주항공청에서도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를 위해 접촉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중국서 신종 코로나 발견?…‘코로나19 시절’ 재공포감 [해시태그]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대학생 근심 덜어주는 ‘국가장학금’, 올해부턴 수혜 대상 1.5배 확대…나도 대상일까? [경제한줌]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227,000
    • -8.84%
    • 이더리움
    • 3,473,000
    • -10.99%
    • 비트코인 캐시
    • 407,800
    • -10.39%
    • 리플
    • 3,092
    • -13.41%
    • 솔라나
    • 197,400
    • -13.35%
    • 에이다
    • 937
    • -11.85%
    • 이오스
    • 780
    • -12.65%
    • 트론
    • 331
    • -7.8%
    • 스텔라루멘
    • 404
    • -12.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180
    • -6.63%
    • 체인링크
    • 21,210
    • -12.28%
    • 샌드박스
    • 421
    • -12.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