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해외 대체거래소처럼 24시간 체제 등 차별화 고민해야"[넥스트레이드 한달 下 ③]

입력 2025-04-01 05: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4-01 05:45)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출범 한 달 성과에 긍정평가 잇따라
기관투자자 유입 필요성 공통 제시
ETF 등 거래상품 다양성 확보해야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ATS)인 넥스트레이드(NXT)가 운영을 시작한 4일 서울 영등포구 넥스트레이드 사무실 모습. 넥스트레이드는 KRX와 동시에 운영하는 정규 거래시간 전·후로 프리마켓(오전 8시~8시 50분)과 애프터마켓(오후 3시 30분~오후 8시)을 운영한다. 이에 따라 국내 하루 주식거래 시간은 12시간으로 현행 보다 5시간 30분 늘어난다. 단 개장 첫날엔 개장식 후에 서비스 제공이 시작되어 프리마켓 없이 운영을 시작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국내 최초 대체거래소(ATS)인 넥스트레이드(NXT)가 운영을 시작한 4일 서울 영등포구 넥스트레이드 사무실 모습. 넥스트레이드는 KRX와 동시에 운영하는 정규 거래시간 전·후로 프리마켓(오전 8시~8시 50분)과 애프터마켓(오후 3시 30분~오후 8시)을 운영한다. 이에 따라 국내 하루 주식거래 시간은 12시간으로 현행 보다 5시간 30분 늘어난다. 단 개장 첫날엔 개장식 후에 서비스 제공이 시작되어 프리마켓 없이 운영을 시작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전문가들은 넥스트레이드에 대해 "출범 이후 순항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부족한 기관투자자 참여율은 한계로 꼽았다. 대체거래소에 투자자들이 더 많이 들어오기 위해서는 상장지수펀드(ETF) 등 거래상품 다양화와 24시간 거래 체제 등도 차별화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준서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시세 왜곡 등 논란 속에서도 개인을 중심으로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빠르게 늘고 있다"며 "거래시간 연장이라는 특성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 요소로 다가간 것"이라고 분석했다.

강소현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새로운 호가 유형도 생기고 거래 시장도 연장되면서 투자자 편의성이 커졌다"며 "출범 초 시세오류와 전산장애 등 잡음이 있었지만, 근원적 문제라기보다는 테스트 기간에 일어날 수 있었던 단순 수정 사항"이라고 말했다.

70년 만에 독점거래소 체제가 깨지면서 경쟁체제의 장점도 봤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교수는 "한국거래소가 넥스트레이드 운영과 함께 중간가를 신규 도입했다가 18일 전산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등 긴장하는 처지가 됐다"며 "넥스트레이드가 매매 체결 시장에서 한국거래소의 경쟁자이자 보완재로 기능하는 모습"이라고 해석했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18일 새로 도입한 중간가호가에 오류가 발생하며 유가증권시장 거래가 7분간 전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다만 '큰 손' 기관투자자들의 시장 유입이 필수적이라는 의견도 잇따랐다. 강 연구위원은 "기관이 아직 넥스트레이드에 활발히 참여하지 않다 보니 호가 역전 문제가 생긴다"고 짚었다.

강 연구원은 "대형 연기금 등은 운용 규모가 크다 보니 오류나 실수에 예민하다. 지금까지는 넥스트레이드 참여를 보류하고 있는 상황이었지만, 첫 달이 지나고 어느 정도 모니터링이 끝났을 것"이라며 "안정성도 갖춰지고 종목도 800여개로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기관들도 들어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개인 비중이 90%가 넘는 지금의 구조는 비정상적이고 기관과 외국인 참여가 중요하다"며 "넥스트레이드의 시장점유율 확대가 가능할지는 대량·바스켓 매매 시장 개장이 관건"이라고 전망했다.

대량·바스켓매매란 특정 당사자 간 합의를 통해 여러 종목의 주식을 한 번에 대량으로 거래하는 방식이다. 주로 기관투자자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거나 해소할 때 사용한다. 이를 통해 기관투자자는 거래 비용을 절감하고 시장의 충격도 줄인다. 넥스트레이드는 31일 대량·바스켓매매 거래를 시작한다. 애초 출범과 함께 개장할 계획이었지만 서킷브레이커 관련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며 일정이 늦춰졌다.

넥스트레이드가 점유율을 더 넓히기 위해서는 24시간 거래시간 확대와 ETF 등 거래상품의 차별화 및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강 연구위원은 "기관의 경우 다양한 수요를 시장에서 해소해줄 수 있는 알고리즘 트레이딩이나 집행 기준이 필요하다"며 "대체거래소에서도 채권, 장외시장 종목, 토큰증권 등 여러 투자자산의 다변화를 고민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넥스트레이드에 더 많은 투자자가 유입되기 위해서는 기관과 개인이 모두 투자 비중을 늘리고 있는 ETF 거래가 필수적"이라며 "또 거래시간을 기존 오후 8시에서 오버나이트(24시간 체제)로 늘려 차별화를 꾀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유럽 등 해외 대체거래소 일부는 오버나이트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전통적인 정규 거래 시간이 아닌 시간대에 거래를 제공하는 차별화 전략이다. 미국의 블루오션과 BATS, 리퀴드넷, 유럽의 Chi-X 등이 24시간 체제를 선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800,000
    • +0.78%
    • 이더리움
    • 2,752,000
    • -0.33%
    • 비트코인 캐시
    • 450,100
    • -2.05%
    • 리플
    • 3,073
    • -1.79%
    • 솔라나
    • 183,900
    • -2.02%
    • 에이다
    • 988
    • -1.2%
    • 이오스
    • 1,148
    • +14.91%
    • 트론
    • 353
    • +1.44%
    • 스텔라루멘
    • 392
    • -1.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280
    • -4.02%
    • 체인링크
    • 19,910
    • -2.55%
    • 샌드박스
    • 395
    • -3.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