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안정화·대출 여력 확대
부동산업 불황 따른 기업 부실도 대비

은행들이 28일 종가에서 8.8~21.5%의 프리미엄을 붙여 신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중국 재정부가 최대 투자자로 나서 총 5000억 위안 상당 주식을 인수한다. 매입 자금은 특별국채 발행으로 충당한다.
앞서 중국은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총 2700억 위안의 특별국채를 발행해 4대 국영은행에 자본을 투입했다. 이번에는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가 부동산 불황이 금융 리스크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특별국채를 통한 자본 투입을 결정했다고 닛케이가 설명했다. 4개 국영은행의 증자 규모는 중국은행이 1650억 위안, 우정저축은행과 교통은행은 각각 1300억 위안, 1200억 위안이며 건설은행은 1050억 위안이다. 재정부 이외 통신·선박 관련 국유기업도 증자에 참여한다.
중국 정부는 대형 국유은행의 핵심 자기자본 확충으로 금융 안정화는 물론 대출 여력을 높여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까지 목표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9월부터 은행 지원 계획을 언급해온 데 이어 이달 초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5000억 위안 특별국채 발행’을 공식화했다. 정부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가 ‘5% 안팎’인 만큼 이를 위한 작업으로 보인다.
부동산 불황에 따른 기업 부실 등의 위험에도 대비하는 성격이 있다. 자기자본비율이 높을수록 부실채권 처리에 따른 손실 발생에 대응이 쉽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금감총국) 집계에서 지난해 말 상업은행의 대출자산 중 부실채권 비중은 1.5%로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부동산업을 중심으로 잠재적 부실채권은 늘고 있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금융완화 정책으로 대출금리가 낮아지면서 상업은행은 수익성 악화 압박도 큰 상황이다. 금감총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순이자마진은 1.52%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왕지안 궈신증권 수석 금융 애널리스트는 “(이번 자본 투입은) 대형 은행이 실물 경제에 서비스하는 능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금리 인하로 인한 마진 하락 압력에도 대응하는 성격이 있다”면서 “이번 조치로 상대적으로 높은 자산 성장을 유지하고 신흥 산업을 더 잘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