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선택과목 다양하게 골라야”...일각선 ‘교사 업무 과중’ 우려도

입력 2025-04-02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입시전문가 “공동교육과정 적극 활용해 다양한 과목 들어야”

▲27일 서울 관악구 당곡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스마트콘텐츠 실무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서울 관악구 당곡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스마트콘텐츠 실무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부터 고교학점제가 전국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전면 도입된 가운데 입시업계에서는 현 고1부터 자신의 진로에 맞는 선택과목을 부지런히 고민해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일 교육부에 따르면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직접 선택해 수업을 듣고, 3년간 총 192학점을 취득하면 졸업하는 제도다. 1학년은 공통과목 위주로 수업을 듣고, 2학년부터는 선택과목을 직접 선택해 시간표를 짜고 수업을 듣게 된다.

선택과목은 크게 일반선택과목과 진로선택과목, 융합선택과목으로 구성된다. 일반선택과목은 일반적인 수능 출제 과목에 해당해 국어 교과에서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 등이 있고 수학 교과에서 미적분Ⅰ·확률과 통계, 영어 교과에서 영어Ⅰ, 영어Ⅱ, 독해와 작문 등이 있다.

진로선택과목에서는 국어 교과에서 △주제 탐구 독서 △문학과 영상, 수학에서 △경제 수학 △인공지능 수학 등이 있으며 영어 교과에서는 △영미 문학 읽기 △영어 발표와 토론 등 과목이 마련됐다. 사회 교과에서는 △도시의 미래 탐구 △동아시아 역사 기행 등을 배울 수 있고 과학 교과에서는 △역학과 에너지 △세포와 물질대사 등 과목을 택할 수 있다.

융합선택과목은 독서 토론과 글쓰기(국어), 수학과 문화(수학), 세계 문화와 영어(영어), 금융과 경제생활(사회), 기후변화와 환경생태(과학) 등으로 교과 간 융합 성격이 짙은 과목이 많다.

입시업계 “학생부종합전형 준비한다면 선택과목 더욱 중요”

입시업계에서는 이처럼 다양한 과목이 개설된 만큼 학생들이 신중하게 선택과목을 골라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일반선택과목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수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차별화를 줄 수 있는) 진로선택과목이 굉장히 중요해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학생이 진학하고자 하는 계열 또는 학과에 적합한 과목이 어떤 건지, 선택과목 중에 어떤 걸 이수하는 게 중요한지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면서 “고교학점제 하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한다면 그런 부분이 더 중요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학교별로 진로선택과목과 융합선택과목이 다르게 개설되기 때문에 ‘공동교육과정’을 적극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과목을 이수하는 게 좋다는 조언도 나온다. 고교학점제 하에서 교내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이 적어 개설되지 못한 과목이 있거나 타 학교에만 개설된 과목이 있다면 ‘공동교육과정’을 활용해 여러 학교 소속 학생들이 함께 수업을 들을 수 있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일부 대학은 학생선택형 교육과정의 환경 변화에 맞춰 학생이 고교교육과정에서 이수해야 할 권장 과목을 안내하고 이를 학생부종합전형 등 서류평가에서 반영한다”며 “만일 대학이 제시한 핵심과목, 권장과목이 수험생의 학교에서 개설하지 않았을 경우 학생은 평가에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은 학생이 처한 상황도 고려하겠지만 추가적인 노력도 기대하므로 공동교육과정으로 이수하길 추천한다”며 “공동교육과정으로 (각 대학이 안내하는) 핵심과목, 권장과목을 들으면 좋은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사단체 “고교학점제 전면 재검토” 목소리도

다만 교육계에서는 교사단체를 중심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해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인해 교사들의 업무 부담이 크게 늘었다는 이유에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지난달 19~25일 전국 고교 교사 17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97.6%는 ‘새롭게 바뀐 고1 출결처리 방법으로 업무 부담이 늘었다’고 답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들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를 향해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학교 현장의 혼란에 대해 사과하고, 즉각적인 제도 개선 대책을 마련하라”며 고교학점제를 전면 재검토할 것을 요구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31일 국회 교육위원회 강경숙·김문수·김준혁·문정복·백승아 의원과 교사노조연맹 등도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의 탁상행정으로 학교 현장은 출결 처리부터 졸업 요건까지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며 “교사의 업무 과중과 교육 활동 방해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1:4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282,000
    • -1.15%
    • 이더리움
    • 2,718,000
    • -2.51%
    • 비트코인 캐시
    • 451,000
    • -0.27%
    • 리플
    • 3,056
    • -1.55%
    • 솔라나
    • 178,400
    • -3.41%
    • 에이다
    • 977
    • -1.41%
    • 이오스
    • 1,240
    • +21.21%
    • 트론
    • 353
    • -0.56%
    • 스텔라루멘
    • 395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560
    • -0.72%
    • 체인링크
    • 19,740
    • -2.95%
    • 샌드박스
    • 394
    • -0.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