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지수 5거래일 만에 반등
테슬라(3.59%) 등 M7 모두 강세

뉴욕증시는 4월 첫 거래일인 1일(현지시간) 혼조로 종료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80포인트(0.03%) 내린 4만1989.96에 마무리했다. S&P500지수는 21.22포인트(0.38%) 상승한 5633.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50.60포인트(0.87%) 오른 1만7449.89에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전일 4거래일 만에 반등했으나 이날 다시 아래를 향했다. S&P500은 이틀째 상승했다. 나스닥은 5거래일 반에 반등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글로벌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즉각 시행에 들어간다고 재차 확인했다. 이에 증시 관망세가 짙다. 투자자들은 불안 속에서도 상호관세 내용을 지켜보려는 움직임에 따라 무분별한 매도를 자제했다.
관련 뉴스
미국 경기둔화를 시사하는 경제지표가 투자 심리를 짓눌렀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0으로 시장 예상치(49.5)와 전월치(50.3)를 모두 하회했다. 제조업 업황이 경기 확장과 위축의 경계선인 50 아래로 3개월 만에 다시 떨어졌다. 이에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제조업 사업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2월 구인 건수는 약 757만 건으로 시장 예상치(763만 건)를 밑돌았다. 전월(776만 건) 대비 약 20만 건, 전년 동기(845만 건) 대비 약 87만7000건 축소됐다.
기술주는 간만에 기지개를 켰다. 테슬라(3.59%)·마이크로소프트(1.81%)·메타(1.67%)·엔비디아(1.63%)·알파벳(1.57%)·아마존(1.00%)·애플(0.48%) 등 매그니피센트7(M7)이 모두 강세를 띠었다.
미국 유명 헬스케어 제품 제조사 존슨앤드존슨(J&J) 주가는 7.59% 급락했다. 탈크(활석)를 원료로 한 베이비파우더로 인한 건강 피해 보상 집단소송 합의안이 기각되면서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 데 따른 것이다.
사우스웨스트(-5.93%), 델타항공(-2.71%), 아메리칸항공(-2.37%), 유나이티드항공(-1.23%) 등 항공주도 부진했다.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출장과 일반 여행 수요 모두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투자은행 제프리스가 사우스웨스트항공, 아메리칸항공, 델타항공 등에 대한 투자 의견을 하향한 것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우파 성향의 미국 케이블 뉴스 채널 뉴스맥스는 상장 첫날인 전일 주가가 735% 폭등한 데 이어 이날도 179% 뛰었다.
국제유가는 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28달러(0.39%) 내린 배럴당 71.20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6월물 브렌트유는 0.28달러(0.37%) 떨어진 배럴당 74.49달러로 집계됐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6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4.30달러(0.13%) 내린 온스당 3146.00달러에 마감했다. 전일 사상 최고치를 찍은 후 숨을 골랐다.
미 달러화는 강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전날보다 0.05% 오른 104.26로 집계됐다. 이날 엔ㆍ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0.30엔(0.20%) 떨어진 149.25엔을 기록했다. 이날까지 4거래일 연속 엔화가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미국 채권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전일보다 8.9bp(1bp=0.01%포인트) 내린 4.156%를 기록했다.
로이터통신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채권, 통화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여러 지표들이 최근 며칠 사이 급격히 상승했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투자 판단을 내리기 얼마나 어려워하는지를 보여준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