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트럼프 상호관세에 맞서거나 달래거나

입력 2025-04-02 13: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EU·캐나다 보복 예고…“강력한 계획”
베트남, 자동차 등 수입품 관세 인하
중국 “한·일과 美 관세 대응 조율”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선적 컨테이너들이 보인다. AFP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선적 컨테이너들이 보인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에 앞서 각국이 선제적 대응 방침을 밝히고 있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과 캐나다는 보복 관세 등 강경 대응을 예고한 반면 베트남은 자동차 등 수입품 관세 인하 방침을 발표하면서 미국을 달래고 있다. 중국은 역내 경제 협력을 강화해 트럼프 관세 파고를 넘으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본회의 연설에서 “협상에 열려있다”면서도 “유럽은 무역, 기술, 시장 규모에 이르기까지 많은 카드를 갖고 있다. 반드시 보복을 원하지는 않지만 필요하다면 강력한 보복 계획이 있고 이를 사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도 이날 “내일 캐나다에 대한 추가적인 관세가 있다면 보복하겠다”며 강경 대응을 다짐했다.

베트남은 액화천연가스(LNG), 자동차 등 광범위한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발표했다. 정부 웹사이트에 게재된 성명에 따르면 일부 차종의 관세가 최대 64%에서 32%로, LNG는 5%에서 2%로 각각 인하됐다. 에탄올 수입 관세도 10%에서 5%로 낮아졌다. 사과, 아몬드, 체리 등 수입 농산물 역시 관세 인하 대상에 포함됐다. 지난달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베트남 측에 양국 간 무역수지를 개선하고 시장을 더 개방해야 한다고 말했던 조언에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중국 관영 중국중앙TV(CC)가 운영하는 웨이보 계정 ‘위위안탄톈’은 전날 “한·중·일 3개국이 공급망 협력과 수출 통제에 관한 대화를 강화하는 등 미국 관세에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합의했다”며 “한국과 일본은 중국에서 반도체 원자재를 수입하고 있고 중국은 두 나라의 칩 제품 수입에 관심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한국과 일본 정부는 최근 열린 3자 무역장관 회담에서 의견을 교환했지만, 해당 주장은 다소 과장됐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3:2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702,000
    • -1.37%
    • 이더리움
    • 2,710,000
    • -2.8%
    • 비트코인 캐시
    • 449,100
    • -0.84%
    • 리플
    • 3,067
    • -1.6%
    • 솔라나
    • 178,200
    • -3.68%
    • 에이다
    • 966
    • -3.5%
    • 이오스
    • 1,205
    • +1.26%
    • 트론
    • 354
    • +0%
    • 스텔라루멘
    • 391
    • -1.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620
    • -1.25%
    • 체인링크
    • 19,550
    • -3.93%
    • 샌드박스
    • 393
    • -2.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