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 문화재위원이 결탁해 도자기 가격을 부풀려 감정하고 지방의 고입 박물관이 매입토록 한 사실이 드러났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시가 8000∼9000만원짜리 도자기가 10억원으로 둔갑하는 일도 발생했다.
한나라당 성윤환 의원은 5일 문화관광체육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일부 전현직 문화재위원이 지위를 이용해 친분이 있는 소장자들에 이익을 주기 위해 도자기 가격을 부풀려 매입토록 강요했다”며 국공립박물관의 도자기 구입실태에 대한 전면적인 감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도자기는 지난 1992년 소더비경매에서 감정가 1만5000~2만달러로 출품된 적이 있으며, 당시 출품을 위해 임시로 붙인 손잡이 모습과 현재 모습이 확연히 달라 수리된 흔적도 있다는 게 성 의원측의 설명이다.
또한 성 의원 측이 공인기관에 이 도자기의 가격을 감정한 결과 8,000~9,000만원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성 의원측은 또 올해 6월에 같은 박물관이 구입한 청자상감모란문정병이라는 도자기 역시 성의원 측이 가격감정을 의뢰한 결과 1억4000만~1억5000만원이었지만 당시 감정위원들은 세사람 모두 10억원으로 감정했으며, 당시 구입대상 유물 20점에 대한 감정가격도 세 사람 모두 동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감정위원중 2명은 최모 문화재위원이 학예실장으로 근무했던 경기도 이천의 도자문화연구소 출신이었다.
성 의원은 “강진 도자기 구입 바가지 사건의 핵심인물들은 최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의 구매위원으로도 활동해왔다”며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전국의 국공립 박물관이 예산을 낭비하지 않도록 반드시 감사원 수준의 감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