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슬란드 화산폭발 파장에 대한 국제적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공항폐쇄가 타당한가'와 '항공기 운항 재개 시기가 적당한가'라는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이 두 명제는 모두 '안전'이라는 화두와 연결돼 있지만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은 사실 EU의 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있다. 그렇잖아도 PIGS(포르투갈·이탈리아·그리스·스페인)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EU는 이번 화산폭발을 조기 수습해야 할 의무를 안고 있었다.
화산폭발로 인해 직격탄을 맞은 곳은 EU내 항공사들이다. 역내 하늘 길이 마비되면서 항공사들은 큰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IATA에 따르면 이번 항공대란에 따른 항공업계 손실 추산액이 총 17억 달러에 이른다. 이중 대부분이 유럽 항공사에 집중된 것으로 IATA는 파악하고 있다.
에어프랑스와 루프트한자가 나서서 위험을 감수하고 시험운항을 한 것도 어쩌면 이런 위기 의식을 반영한 것일 수 있다. 공항폐쇄보다 두 번째 화두인 '항공기 운항 재개 시기가 적당한가'라는 명제에 대해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 명제는 유럽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 항공산업과 직결돼 있고 특히 국내 항공사들과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지난달 21일 유럽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화산폭발로 운항을 유럽 노선 운항을 전면 중단한지 5일만이었다. 이 시기를 전후로 유럽의 주요 공항들이 폐쇄조치를 해제했으니 국내 항공사들의 운항재개를 탓할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국내 항공사들의 운항재개 조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항공사들이 100% 자발적으로 결정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내 항공사들의 운항재개에 앞서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20일 수출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21일 일부 운항재개를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후 국내 항공사들은 발빠르게 운항재개를 선언했고 20일밤부터 실제로 운항을 재개했다. 국토부 역시 별다른 의심없이 운항허가를 내줬고 이를 보도자료까지 냈다.
하지만 영국 히드로공항을 비롯해 몇몇 공항은 21일(한국시간) 새벽까지도 운항 재개를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당시 유럽의 공항들은 화산재 분출의 강도에 따라 폐쇄와 해제를 반복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국내 모 항공사는 21일 새벽까지도 운항재개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유럽지역본부와 밤생 회의를 하고 있었다.
이 항공사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새벽까지 일부공항이 폐쇄와 재개를 반복하는 상황에서 유로컨트롤로부터 운항에 대한 안전성 여부를 확인 받지 못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서라면 서둘러 운항재개 결정을 내리기에는 힘든 상황이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전언이다.
물론 지금까지 항공사들의 운항재개 이후 어떠한 사고나 사건도 발생했다는 보고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공항에서 유럽까지 운항시간이 10시간이 이상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항공기 운항도중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는 알 수 없다.
최근 잇딴 항공기 추락 사고에서 알 수 있듯 항공사고는 거의 100%로 사망 사고로 이어진다. 모든 항공기 운항은 '안전'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을 관리감독해야 할 국토부가 항공사들의 운항재개를 먼저 나서서 유도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국토부든 항공사든 그 누구도 승객의 생명을 책임질 수는 없기 때문이다. 국가경제가 아무리 중요해도 국민의 목숨을 담보로 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