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체 "하반기 불확실 요인 커"

입력 2010-08-31 14:04 수정 2010-08-31 14: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기전망, 상반기와 비슷할 듯"

국내 주요 제조업체들이 하반기 경기 전망에 대한 우려감을 나타냈다. 회복세를 보이던 국내 제조업의 8월 체감경기 지표가 기준치를 하회한 데다 환율 불안·금리 인상 등 불안요인이 커진 탓이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제조업의 8월 업황 BSI는 98로 기준치를 하회했다.

한은 관계자는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감이 현실화되면서 제조업체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경기도 냉각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컸던 상반기의 경우 제조업 BSI가 4월 103을 기록한 이후 5월과 6월 각각 103과 105로 상승곡선을 그려왔으나 7월 다시 103으로 하락세로 반전 한 후 5개월만에 처음으로 기준치 이하로 떨어진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하반기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도 피부로 느끼는 불안감이 심해져 BSI가 부진세로 돌아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전자·자동차 등 국내 제조업을 이끌고 있는 주요 업종의 기업들도 비슷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다만 불안요인이 줄어들 경우 올 하반기도 상반기와 비슷한 체감경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전자업체 관계자는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심리는 있지만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의 경기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부요인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자동차업계도 비슷한 전망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이 변화무쌍하고 금융 등의 영향이 큰 만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호전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다만 불확실 요인이 커 전망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불확실요인이 없다면 상반기 수준의 회복세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철강업계도 최근 일본 엔고현상으로 수출의 호기를 맞고 있지만 업황 둔화 등 불확실 요인으로 인해 전망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정유업계나 조선업계는 긍정적인 시각이 크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이미 지난 2008년말부터 시황이 바닥을 쳤기 때문에 향후 경기는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선업계 역시 "수주된 선박을 제조하는 조선업의 특성상 생산차질 등 돌발 상황이 아니면 (하반기 경기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비상계엄 선포는 통치행위…어떻게 내란 되나”
  • 내란 특검·김건희 특검·‘내란 가담자’ 탄핵안까지 모두 본회의 통과
  • ‘입시 비리·감찰 무마’ 조국, 대법서 징역 2년 확정…의원직 상실
  • 내년 공공주택 ‘25만가구+@’ 공급될까… 3기 신도시 본청약·신축매입 확대 속도[종합]
  • 연봉 9000만 원 배우자 원한다고? 신혼부부 현실은… [그래픽 스토리]
  • ‘투자경고’ 19종목 중 15개 이재명 테마주…“과열 주의”
  • 유니클로 인기가 '가성비' 때문이라고요? [솔드아웃]
  • 단독 서울시 마약 행정처분 ‘구멍’...첫 영업정지 강남업소, 과징금 내고 빠져나가
  • 오늘의 상승종목

  • 12.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131,000
    • +2.08%
    • 이더리움
    • 5,653,000
    • +5.47%
    • 비트코인 캐시
    • 785,500
    • +1.55%
    • 리플
    • 3,442
    • +0.35%
    • 솔라나
    • 329,800
    • +2.2%
    • 에이다
    • 1,620
    • +4.85%
    • 이오스
    • 1,582
    • +3.2%
    • 트론
    • 425
    • +6.78%
    • 스텔라루멘
    • 617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000
    • +2.81%
    • 체인링크
    • 40,360
    • +19.8%
    • 샌드박스
    • 1,131
    • +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