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금리가 아닌 환율을 이용해 물가를 안정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국의 대표적인 싱크탱크 중국사회과학원은 환율을 이용, 인플레이션을 억제해 물가를 안정시켜야 한다고 최근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환율을 인플레이션 통제 수단으로 삼아 전반적인 물가 수준을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달러 약세로 인한 자국 통화 강세의 부작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와 더욱 주목된다.
지난 2001년 이후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누적 상승폭은 22%. 그 중 식품가격의 누적상승폭은 무려 62%에 육박한다. 즉 10여년간 중국 CPI의 상승세는 식품가격이 주도했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과학원 CPI와 관련 노동 생산성의 향상과 노동환경의 변화에 주목했다.
중요한 것은 노동 생산성의 향상이 농업부문이 아닌 공업부문에서 이뤄졌다는 점이다. 공업 부문의 농업생산성 향상은 공업 인력의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졌고 이는 농업부문 생산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인구구성으로 발생한 노동환경 변화 역시 청년인구의 비율이 감소하면서 인건비 상승을 초래해 식품물가의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중국은 10년 전에도 노동생산성이 향상과 생산량의 발전을 이뤘지만 낮은 환율로 인해 인플레이션을 막을 수 있었다고 과학원은 제시했다.
즉 저환율이 국외수요를 증가시켜 중국의 수출구조에 이익을 주고 적극적인 국내 인플레를 막았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낮은 환율로 중국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제고시킬 뿐 아니라 내부적인 물가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한편 위안화 강세는 수출에 타격을 주게 되고 금융당국의 인위적인 유동성 강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의 압력은 가중될 수 밖에 없다.
노동 생산성이 향상되고 노동환경이 계속 변하는 상황에서 위안화의 환율에 따라 인플레가 조정되는 만큼 향후 환율 문제는 중국 경제에서 민감한 화두로 남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