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기술인 와이브로로 전국망을 구축, 기존보다 20% 싼 요금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의 계획은 실현될 수 있을까?
KMI는 지난 17일 컨소시엄 주주구성과 사업계획서 등을 보강, 방송통신위원회에 기간통신사업 허가 신청서를 다시 제출했다. 지난 2일 사업계획이 부실하다는 이유로 불허 판정을 받은지 2주 만이다.
KMI의 수정된 사업계획을 보면 초기 납입자본금은 기존의 4600억원보다 810억원 증액된 5410억원이다. 특히 재무적 부실을 만회하기 위해 80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재향군인회가 3000억원 규모의 사업이행보증과 함께 주요 주주로 참여한다.
KMI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허가만 받으면 8개월 만에 준비를 마치고 내년 10월부터 와이브로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자신하고 있다. 월 2만5000원이면 휴대폰을 통해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무제한 제공한다는 것.
만일 KMI가 와이브로를 전국적으로 구축해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파괴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2006년 순수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와이브로는 현존하는 3G 이동통신기술 중 최고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신업계에서는 여전히 제4 이동통신사의 출범에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새롭게 주주를 구성했다고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통신사업 경험이 부족한데다 전체 통신시장의 20%에 이르는 가입자를 확보, 여기에서 나오는 매출로 5조원에 달하는 전체 투자금의 절반을 충당한다는 것은 실현성이 없기 때문이다.
사실 KT와 SK텔레콤도 와이브로 사업에 지난 5년간 2조원을 쏟아부었지만 가입자를 45만명 밖에 확보하지 못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500만~800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하겠다는 것은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이며, 일단 사업권을 획득해 가입자를 모은 상태에서 사업 진행이 불투명해지면 엄청난 부작용이 따를 수밖에 없다.
현재 와이브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이동통신기술임에도 사장되고 있는 분위기다. KT, SKT, LG U+가 현재의 3세대(3G) 과실 따먹기에 안주하면서 와이브로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신업계는 현 정부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와이브로 사업 강행은 향후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무모한 계획이라는 지적도 하고 있다.
실제 통신업계는 KMI가 제4 이동통신사로 등장해 KT, SKT, LG U+ 등 3강 구도로 굳어진 독과점 체제를 무너뜨릴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회의적이다. 이동통신시장 자체가 신규 사업자의 진입이 쉽지 않고, 설사 진입한다고 하더라도 기존 이동통신사로부터 집중적인 공격을 받아 자생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난 1997년 019 번호를 받고 이동통신시장에 진입한 LG U+(舊 LG텔레콤)마저 후발주자로서 아직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단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