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0조원 美 지방채 디폴트 논쟁 가열

입력 2011-01-12 15:42 수정 2011-01-12 15: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말 130억달러 자금 순유출...금융위기 이후 최고

미국 지방채의 디폴트(파산)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3조달러(3360조원)에 달하는 미국의 지방채가 디폴트 논란에 휩싸였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금융 전문가들은 미 지방채가 디폴트에 직면해 있다며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의 채무문제 만큼이나 심각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월가의 족집게로 알려진 금융 애널리스트 메레디스 휘트니는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 지방채가 디폴트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고 엔론사태를 예견한 짐 캐노스는 주정부와 지자체 재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미국 주(州)정부들은 지난 한세기 동안 주로 채권시장에 의지해 자금을 조달받았다.

지자체들은 채권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을 우려해 빚을 줄이기보다 공공서비스를 감축하고 세금을 더 걷어 들이며 채권시장에 지나치게 의존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출구전략을 시행할 것이라는 관측도 지방채시장의 디폴트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전미 주의회의원연맹의 아르투로 페레즈 재정 애널리스트는 "주정부가 독립적인 재정을 운영해야 할 시점"이라며 "오는 7월 1일 시작되는 2012 회계연도부터 주정부들이 연방정부로부터 받는 보조금의 규모가 전년보다 379억달러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지방정부가 낮은 금리로 지방채를 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 연방정부의 프로그램(Build America Bonds Programme)도 지난해 말 종료되면서 더욱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연방정부의 지원중단은 올해 지방채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면서 발행규모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FT는 전했다.

게다가 시장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개인투자들도 잇따라 지방채 시장에서 손을 털고 있다.

금융조사업체인 톰슨로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11~12월 두달 동안 지방채 시장에서 130억달러의 자금이 순유출됐다.

유출규모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미 지방채에 대한 디폴트 우려는 지나치다고 주장한다.

지방채시장컨설팅업체 MMA의 매트 파비안 총괄책임자는 "휘트니를 비롯한 외부 전문가들은 지방채의 몰락을 예견하고 있으나 이같은 우려는 기우"라고 말했다.

미국 경제가 최악의 국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 지방의 세수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그는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기본으로 돌아간 삼성전자…'기술-품질' 초격차 영광 찾는다
  • 수도권 대설 특보…산본IC 진출입도로 양방향 통제
  • 분당 ‘시범우성’·일산 ‘강촌3단지’…3.6만 가구 ‘1기 선도지구’ 사업 올라탔다 [1기 선도지구]
  • 美ㆍ中 빅테크 거센 자본공세…설 자리 잃어가는 韓기업[韓 ICT, 진짜 위기다上]
  • 재산 갈등이 소송전으로 비화…남보다 못한 가족들 [서초동 MSG]
  • 9월 출생아 '두 자릿수' 증가…분기 합계출산율 9년 만에 반등
  • 연준 “향후 점진적 금리인하 적절...위험 균형 신중히 평가”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0,060,000
    • -1.16%
    • 이더리움
    • 4,791,000
    • +0.4%
    • 비트코인 캐시
    • 698,000
    • +0%
    • 리플
    • 1,928
    • -3.7%
    • 솔라나
    • 322,700
    • -2.86%
    • 에이다
    • 1,347
    • -0.81%
    • 이오스
    • 1,104
    • -5.15%
    • 트론
    • 277
    • -0.36%
    • 스텔라루멘
    • 621
    • -8.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100
    • -2.15%
    • 체인링크
    • 25,380
    • +3.85%
    • 샌드박스
    • 841
    • -7.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