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대기업에 대한 전력사용제한 요구치를 25%에서 15%로 완화하기로 하고 조정에 들어갔다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21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전력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기업과 가정에 대한 전력사용제한 요구치도 15%로 일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은 방침은 주요 전력공급업체인 도쿄전력이 추산한 결과, 전력 공급과 수요의 차이가 예상보다 작을 것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가 지난 8일 발표한 계획에서는 올 여름 더위가 작년같은 살인적인 폭염 수준일 경우 1500만Kw의 전력이 부족할 것으로 우려됐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전력 수요가 많은 여름철 정전 사태를 피하기 위해 1974년 이후 37년만에 처음으로 전력사용제한령을 발동할 계획이었다.
재계에서는 전력사용제한령 발동으로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기준을 완화해달라는 반발이 거세게 일었다.
하지만 도쿄전력의 발전량이 예상 외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도쿄전력은 당초 발전량을 5000만kW로 500만kW 끌어올릴 예정이었다 15일에는 가스터빈 발전량을 늘려 7월말이면 전력공급량을 5200만kW로 늘릴 수 있다고 발표했다. 또 가동이 중단된 화력발전소 복구 등으로 5500만kW까지 공급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일본 정부는 막바지 조정에 들어갔으며 이르면 22일께 전력수급긴급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정식으로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전력사용제한 목표를 낮춰 절전 의식이 약해지면 다시금 전력 수요가 불어나 전력대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점은 여전히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