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날벼락을 맞았다. 지난달 7일 전국위원회가 의결한 당헌 개정안에 대해 법원이 28일 “절차에 중대한 하자가 있다”며 일부 효력정지 가처분 결정을 내리자 당은 일대 혼란에 빠졌다. 지도부는 예기치 못한 법원 제동에 곤혹감을 감추지 못하다가 밤 늦게서야 긴급 비상대책위원회를 열어 내달 2일 전국위원회를 다시 소집해 당헌 개정안을 재의결키로 했다.
초유의 사태가 일어난 배경엔 당내 권력투쟁이 자리하고 있다. 원내대표 경선을 계기로 당내 신주류로 올라선 쇄신파와 친박계 연합군은 7.4 전당대회에서 역학관계에 종지부를 찍으려 했다. 반면 구주류로 밀려난 친이계는 단일대오를 형성, 절치부심하며 일대 반격을 노렸다.
충돌은 불가피했고 전선은 전당대회 룰(규칙)을 놓고 형성됐다. 서로 자기 진영에 유리한 게임 룰을 만들기 위해 대립했고, 이는 당권 전초전으로 비화됐다. 초기엔 대선주자 출마를 봉쇄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을 놓고 한차례 격돌하더니 대표·최고위원 선출을 현행대로 통합하느냐, 분리하느냐를 놓고도 격론이 벌어졌다. 급기야 여론조사 반영 여부까지 도마에 올랐다.
갈등은 6.7 전국위원회에서 폭발했다. 의장인 친박계 이해봉 의원은 “266명의 전국위원이 내게 낸 위임장에 따라 의장이 의결권을 행사하겠다”며 비상대책위원회 안을 뒤집었다. 회의장은 순간 항의하는 친이계 위원들로 아수라장이 됐다. 전체 전국위원 741명 중 당시 재적위원은 164명에 불과해 이 의장이 위임받았다고 주장한 표(266명)가 의결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 당직자들조차 “이런 회의는 처음 본다”며 혀를 내둘렀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친이계 의원들이 한발 물러서면서 갈등은 봉합되는 듯 했지만 분을 삭이지 못한 전국위원 김모씨가 서울남부지법에 제출한 가처분 신청을 28일 법원이 받아들임으로써 논란은 원점으로 회귀했다. 이와 함께 막바지로 치닫던 7.4 전대 일정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법원이 ‘선거인단 구성 변화에 따른 문안 정리’를 지적함에 따라 기존 1만명에서 21만명으로 대폭 확대된 선거인단이 어떻게 되느냐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지도부는 일단 현재 7명의 당권주자들에게 적용되는 룰에 대한 법적·정치적 시비를 피하기 위해 동일안을 재의결키로 했지만 내달 2일 열리게 되는 전국위원회가 의사정족수를 채울지조차 장담치 못하고 있다. 지난 전국위 때도 위임장을 제외한 실제 재적수는 정족수에 크게 미달했다. 또 재적위원 과반을 채운다 하더라도 전국위원들이 당헌 개정안에 찬성표를 행사할지도 미지수다. 법원의 지적대로라면 741명의 전국위원 중 과반인 371명 이상이 참석해야 하고, 이들 모두가 찬성해야 당헌 개정안이 통과될 수 있다.
한편 전대 일정을 소화 중인 각 후보들은 “전대는 예정대로 치러져야 한다”며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29일 중진의원 회의에서 “법원이 전국위 판단을 무효라고 판시한 만큼 법원 판단을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유 여하를 떠나 국민과 당원 앞에 송구스럽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해봉 전국위의장도 “사유가 뭐든 당은 물론 전국위원들에게 걱정을 끼쳐서 송구스럽다”고 용서를 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