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어쩌나? 소형ㆍ저가아파트 마저 하락세

입력 2011-11-24 11:50 수정 2011-11-24 15: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소형·저가·비강남아파트 가격이 트리플 하락세로 반전됐다. 그 동안 불황을 모르던 소형과 저가, 강북지역 아파트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 지난 2008년 하반기 금융위기 때 이후 처음이다.

2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서울 소재 2억원 미만과 66㎡ 미만, 지역별 아파트값을 조사한 결과 모두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국내외 경제불안 여파로 부동산경기 침체가 깊어지면서 강남 재건축아파트 뿐만 아니라 강북과 수도권 등으로 집값 하락세가 확산되면서 가격·면적·지역을 가릴 것 없이 약세 기조를 보이고 있다.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지난 8월 부터 3개월간 서울 아파트값은 1.86%가 떨어졌고, 지역별로도 25개구 중 22개구가 하락 추세를 보였다.

특히 재건축 단지가 많은 강동구가 1.93% 하락해 낙폭이 가장 컸다. 이어 △강남구 -1.82% △양천구 -1.5% △송파구 -1.41% 등 강남지역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또 강북지역 상승세를 이끌던 소위 ‘노·도·강’ 지역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실제로 △노원구 -0.23% △도봉구 -0.24% △강북구 -0.23% 등을 기록했다.

저가 아파트도 맥을 못추고 있다. 가격대별 아파트값 변동률을 보면 △2억 미만 -0.21% △2억원대 -0.11% △3억원대 -0.1% △4억원대 -0.36% △5억원대 -0.54% △6억이상 -1.45%로 모든 가격대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소형 아파트 위주로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하던 수요도 자취를 감췄다. 규모별로는(재건축 제외) △66㎡ 미만 -0.26% △66~99㎡ -0.16% △99~132㎡ -0.32% △132~165㎡ -0.64% △165㎡ 이상 -0.63%로 모든 면적대에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부동산1번지 채훈식 팀장은 “지난 2008년 10월 금융위기 당시에도 그전까지 상승세를 보였던 소형과 저가, 비강남 지역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바 있다”며 “현재는 당시보다 전체적인 하락폭은 크지 않지만 그만큼 주택시장의 침체가 크다는 반증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상추에 배추·무까지…식품업계, 널뛰는 가격에 불확실성 고조 [식탁 지배하는 이상기후]
  • 단독 한달 된 '실손24' 60만 명 가입…앱 청구 고작 0.3% 불과
  • 도쿄돔 대참사…대만, 일본 꺾고 '프리미어12' 우승
  • "결혼 두고 이견" 정우성ㆍ문가비 보도, 묘한 입장차
  • ‘특허증서’ 빼곡한 글로벌 1위 BYD 본사…자사 배터리로 ‘가격 경쟁력’ 확보
  • [식물 방통위] 정쟁 속 수년째 멈춤…여야 합의제 부처의 한계
  • 이재명 오늘 '위증교사' 선고...'고의성' 여부 따라 사법리스크 최고조
  • "9만9000달러는 찍었다"…비트코인, 10만 달러 앞두고 일시 횡보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11.25 11: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340,000
    • -0.79%
    • 이더리움
    • 4,637,000
    • -2.81%
    • 비트코인 캐시
    • 703,000
    • -2.63%
    • 리플
    • 1,934
    • -7.11%
    • 솔라나
    • 348,200
    • -2.79%
    • 에이다
    • 1,381
    • -8.66%
    • 이오스
    • 1,130
    • +2.17%
    • 트론
    • 289
    • -3.02%
    • 스텔라루멘
    • 723
    • -7.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050
    • -3.36%
    • 체인링크
    • 24,490
    • -1.25%
    • 샌드박스
    • 1,028
    • +58.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