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시라이 스캔들 ‘일파만파’...사형위기에 아들 美 망명설 등

입력 2012-04-19 09: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8차 당대회 연기설 등 中 권력분열 양상까지

중국이 보시라이 전 충칭시 당서기 스캔들에 휘청이고 있다.

보시라이가 사형 판결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에다 외교 갈등 비화설까지 제기됐다고 18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는 전일 사설에서 지난 1952년 류칭산과 장쯔산이 부정부패 혐의로 사형을 받았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고위공직자들은 당의 기율을 항상 지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인민일보는 비록 보시라이를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민감한 시기에 공직자 사형을 예로 든 것은 심상치 않다는 평가다.

천시퉁(1995년) 전 베이징시 당서기와 천량위(2006년) 전 상하이 당서기처럼 비교적 최근에 부정부패로 구속된 정치인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굳이 과거에 사형당한 공직자 이름을 거론한 것이 의미심장하다는 것이다.

보의 낙마에 따른 중국 최고지도부의 분열 양상도 심각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영국 BBC방송은 지난 17일 중국 정부가 저우융캉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대해 비공개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고 전했다.

저우융캉은 당 서열 9위로 공안과 사법을 총괄하는 정법위원회 서기를 맡고 있으며 보시라이를 적극 지지해왔다.

이에 중국 공산당이 통상적으로 10월에 여는 당대회를 올해 말이나 내년 초로 연기할 수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올해 18차 당대회에서는 시진핑 부주석이 후진타오 국가 주석으로부터 공산당 총서기직을 물려받는 등 권력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민감한 시기에 보시라이 스캔들로 당이 권력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보시라이 스캔들은 중국뿐 아니라 미국과 영국 등 다른 나라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보의 아들인 보과과가 미국에 망명 신청을 했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보과과를 보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보과과의 망명 신청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앞으로 미·중 관계 갈등의 소지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정치권은 보시라이 일가에 의해 살해된 것으로 알려진 자국 사업가 닐 헤이우드에 정부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성심당 빵, 앞으로도 대전역서 구입 가능…입점업체로 재선정
  • 이번엔 ‘딥페이크’까지…더 뜨거워진 미스코리아 폐지 목소리 [해시태그]
  • '흑백요리사' 백수저X흑수저 식당 어디일까?…한눈에 보는 위치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단독 네이버, ‘AI 헬스 비서’ 첫발 뗐다…예상 질병에 병원도 찾아준다
  • 주말 최대 100㎜ ‘강수’…국군의 날부터 기온 ‘뚝’ 떨어진다
  • 태영건설, 자본잠식 해소…재감사 의견 '적정', 주식 거래 재개되나
  • 삼성전자, '갤럭시 S24 FE' 공개…내달 순차 출시
  • 홍명보 감독, 내주 두 번째 명단 발표서 '부상 우려' 손흥민 포함할까
  • 오늘의 상승종목

  • 09.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746,000
    • -0.15%
    • 이더리움
    • 3,529,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465,200
    • -1.92%
    • 리플
    • 806
    • +3.6%
    • 솔라나
    • 207,200
    • -0.58%
    • 에이다
    • 528
    • -0.75%
    • 이오스
    • 706
    • -1.53%
    • 트론
    • 204
    • -0.49%
    • 스텔라루멘
    • 131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800
    • -1.36%
    • 체인링크
    • 17,060
    • +1.67%
    • 샌드박스
    • 385
    • -2.04%
* 24시간 변동률 기준